중환자실의 직영 전세버스
상태바
중환자실의 직영 전세버스
  • 교통신문 webmaster@gyotongn.com
  • 승인 2008.03.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법적 요건을 갖추고 영업을 하는 직영 전세버스 업체가 벼랑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이유는 유가나 인건비 및 장비 등 원가는 상승하는데 업체의 격심한 경쟁으로 이를 요금에 반영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장사가 안된다’는 이야기다. 장사가 안되다보니 직영은 줄고 지입이 갈수록 늘어나는 것이다.

서울지역은 68개 전세버스 업체 중 10∼12개 정도가 직영업체로 꼽히고 있다. 이 중 몇몇 업체는 ‘심각하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근근이 명맥을 유지해오던 직영업체들이 하나둘씩 사라질 위기에 직면한 것이다. 업계에서는 이제는 ‘갈때까지 갔다’고 말한다.

신동진 하나관광 영업부장은 “현재 직영업체는 임종 전의 노인과 같다”며 “살고는 싶은데 안아픈데가 없는 상태”라고 비유했다. 그렇다고 이제와서는 발을 뺄수도 없다고 말한다. 조성훈 경춘교통 부사장은 “어려운 직영업체들은 빚이 많아서 회사를 정리하지도 못한다”고 말했다. 이대로 가다가는 공멸한다는 걸 짐작하면서도 직영업체 사장들은 “갈때까지 가보는 수 밖에 없다”고 말한다.

이에대한 대안으로 유가보조금 지급 등 제도적 지원을 주장하지만 업계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지입업체들은 이에대해 오히려 소극적편이다. 힘을 합쳐 뛰어도 어려운데 보조금을 줄이려고 하는 시대적 추세와 합쳐져 가능성이 더욱 낮게 보인다.

총량규제나 허가제도 규제완화의 시대적 추세에 맞춰 가능성이 낮아보인다. 그렇다고 그린벨트내 차고지 마련 가능성도 아직 요원하다. 관광기능은 일부분이고 학생 단체수송이나 통학 및 통근 등 대중교통수단의 보완적 역할이 큼에도 이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기때문에 다른 업종이 그린벨트내 차고지를 배정받아도 전세버스는 어렵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제도적으로 직영업체를 존립하도록 하는 ‘여건조성’이 어렵다는 결론이다. 그렇다고 대형화하는 것과 직영업체 공동마케팅도 제기되지만 효과문제는 물론 이해관계와 결부돼 실현가능성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반응이다.

정히 대안이 없다면 지입을 양성화하는 것도 검토해볼만 하지만 안전문제가 동반되기 때문에 쉬운 대안이 아니다. 중병은 들어 중환실에 들었는데 수술방법이 없는 것이다. 업계는 업황이 어려운 것보다 이같은 사실에 절망하고 있다. 이 절망 속에 직영전세버스가 죽어가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