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기술’ 차세대 車산업 성장 동력
상태바
‘자율주행 기술’ 차세대 車산업 성장 동력
  • 김정규 기자 kjk74@gyotongn.com
  • 승인 2014.06.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해외, 관련법 개정하며 상용화 앞당겨...기술개발에 탄력

해외, 관련법 개정하며 상용화 앞당겨...기술개발에 탄력

국내, “제도적 뒷받침 없어 미래 시장 경쟁력 잃을 수도”

미래 스마트카를 위한 자동차 전장부품의 진화는 하나의 목적을 향해 거듭되고 있다. 운전자의 안전과 편의성을 담보하는 자율주행이 그것이다. 대표적 IT 부품기술의 융합 산업인 자율주행 자동차의 상용화, 이제는 공상과학 영화 속 이야기가 아닌 현실이 되어 우리 앞에 다가왔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부품업체들과 손잡고 자율주행 기술개발에 전력을 다하고 있지만 넘어야 할 장애는 여전히 존재한다. 자동차 신기술의 속도를 관련법규가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에 자동차 선진국들은 발빠른 법률 개정에 나서고 있다. 이런 추세에 국내 자동차 산업이 차세대 총아가 될 자율주행 기술에 있어 그 속도를 맞추고 있는지 짚어봤다.

자동차 강국, 자율주행 관련법 개정 나서

“미래 '자율주행 자동차' 상용화에 가장 큰 걸림돌은 기술이 아닌 법규”라며 “세계 각지에서 관련 법규가 완성되고 차량 사고 시 책임 소재에 대한 문제만 분명해진다면 '자율주행 자동차'는 2018년 쯤 일반 소비자들에게 판매될 수 있다.”

지난 4일 카를로스 곤 르노-닛산 얼라이언스 회장은 자동차 행사에서 이같이 밝히며 자율주행 자동차의 상용화가 얼마 남지 않았음을 알렸다. 4년 후를 가정한 말이다.

최근 외신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주가 네바다주, 플로리다주, 미시간주에 이어 네 번째로 공공도로에서의 자율주행자동차 운행을 허가했다. 아직까지 제조사 직원 및 테스트 차량에 한해서지만 캘리포니아주 교통국은 내년 1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면허 발급과 일반 자율주행 자동차의 도로주행도 가능하도록 법을 제정할 방침이다. 단 무인 차량은 허용되지 않는다.

한 매체는 “자율주행자동차 제작 업계는 상용화를 앞당길 법적 기반이 계속해서 마련되고 있다는 사실에 고무적인 분위기”라며 “자율주행자동차의 규제가 풀리면서 미국 내 자율주행자동차 개발 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전했다.

영국 정부도 선도적인 자율주행자동차 운영 국가가 된다는 목표 아래 관련법과 제도 정비에 나섰다. 내년부터 자율주행자동차가 실제 영국 도로 위를 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이를 위해 1000만 파운드(약 173억원)의 기금을 조성해 운행 테스트를 지원하는 도시에 자금 지원을 할 예정이다.

일본 역시 국가 차원의 제도 정비와 지원이 잇따르고 있다. 일본은 성장 전략에 ‘자동주행시스템 실현’을 포함해 2020년까지 고속도로에서 자율주행이 가능토록 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하지만 이런 세계적 움직임과 달리 국내의 움직임은 미비하다. 업계 전문가는 자율주행 기술에 있어서 선진국과의 격차가 5년 이상은 벌어졌다는 평가다. 이는 자율주행의 핵심장비인 레이더 등 주변 인식 기술이 뒤쳐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자동차부품연구원 관계자는 “차간 거리 제어 시스템, 보행자 회피 기술 등 자율주행 운행에 관련된 개별 기술들은 국내도 어느 정도 수준에 올라와 있지만 각 기술을 통합해 자율주행자동차를 상용화하겠다는 움직임은 아직 구체화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자율주행의 테스트와 관련한 제도적 환경조차 갖추지 못한 것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현행 자동차관리법에 의한 주행 테스트를 포함한 일반 도로주행 규제다. 국내에서도 연구 목적 차량의 도로 주행을 허가(자동차관리법 27조의 ‘임시운행허가’ 제도)한다. 하지만 일반 차량에만 적용되는 규정이다.

또 자율주행차량을 의미하는 ‘자율조향장치는 설치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어 자율주행차는 도로 주행을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자율주행차를 연구개발 중인 현대차도 상용화에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문제에 대해 전문가들은 자율주행차 연구개발에 앞서 상용화에는 다양한 제도적 뒷받침이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 업계 전문가는 “자율주행차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IT기술력을 바탕으로 선도적 위치를 차지할 수 있음에도 제도적 규제 탓에 더딘 발걸음을 보이는 것 같아 안타깝다”면서 “우리와 경쟁하는 자동차 선진국 등이 자율주행차 관련 제도를 서둘러 마련하고 있는 만큼 그에 따른 제도 개정에 나서야 할 시기”라고 주장했다.

IT부품기술 융합이 관건...국내 부품사 ‘지지부진’

자율주행 기술에 대한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의 기술 경쟁은 치열하다. 그러나 국내 관련 업계는 별다른 성과와 전망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국내 자동차 전장부품 업체 관계자는 “미래 스마트카 관련 기술에 대해서는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지만 자율주행 분야는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가 없다"고 밝혔다. 국내 대표 전자업체의 경우도 스마트 기기와 자동차를 연동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개발에 집중하는 경향이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국내 완성차 업체의 자율주행 기술 연구가 진행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는 IT업체와의 협업 없이는 불가능하다”며 “현재 국내 기업들이 단기간에 가시화 될 수 있는 기술에 치중해 파트너십 구축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관련 기술 개발이 더뎌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핵심 기술에 필요한 IT부품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위성항법장치(GPS)나 센서, 라이더(LiDAR·전파에 가까운 성질을 가진 레이저관선을 이용해 범위를 감지하는 기술) 등을 비싼 비용으로 들여오는 것이 현실이다.

한 업계 전문가는 “해외 자동차 선진국의 자율주행차 기술 개발 속도가 예상보다 빠르다”며 “국내 업체 간 네트워크 구성 및 관련 부처가 제도적 지원을 서두르지 않으면 미래 자동차 시장에서 국내 자동차 산업 및 IT부품 산업 전반의 경쟁력이 뒤쳐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현재 자율주행 분야에서 선도적 위치를 점하고 있는 ‘구글’은 지난 4월 '렉서스' 차량으로 약 112만km의 무사고 자율 주행을 선보이는 등 오는 2017년 상용화를 목표로 자율주행자동차 개발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이러자 완성차 업체들도 속속 자율주행차 전략을 발표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이미 S500 인텔리전트 드라이브 연구 차량으로 100km 가량 자율주행 시범주행에 성공했고, 닛산은 자율주행차의 상용화 시점을 2020년으로 내걸었다. 향후 10년 이내 자사의 전 차종에 관련 기술을 장착, 법규제가 정비된 국가부터 판매한다는 계획이다. 이밖에 도요타, 아우디가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최대 가전박람회인 CES에서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기술이 장착된 콘셉트카를 선보였으며, GM, BMW, 콘티넨탈 등도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에 나서고 있다.

자율주행차 상용화에 대한 전망도 빨라졌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IHS오토모티브'는 2025년 글로벌 자율주행자동차 판매량이 23만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다른 시장조사 전문업체인 ‘내비건트 리서치’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2025년 전 세계 4%에 불과한 자율주행차량이 2035년에는 75%까지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미국 전기전자공학회(IEEE)가 2040년에 전 세계 차량의 75%가 자율주행자동차가 될 것이라고 전망한 것보다 5년 앞당겨진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