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없는 날'과 공동체 의식
상태바
‘차 없는 날'과 공동체 의식
  • 박종욱 기자 pjw2cj@gyotongn.com
  • 승인 2014.09.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주 ‘차 없는 날’ 행사에다 ‘자동차 없는 거리’ 운영 등 유난히 자동차 보다 보행을 중시하자는 캠페인이 활발히 전개됐다. 이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자동차 없는 인간의 생활은 가능할까. 가능이야 하겠지만 지구 전체를, 아니 국가 전체를 그렇게 할 수 없는 일이고, 나아가 일개 도시 하나 역시 그렇게 만들기는 이미 어렵게 돼 버린 세상이다.

그렇다면 왜 구태여 ‘자동차 없는 날’과 같은 행사를 진행하는 것일까. 그것은 자동차로 인한 폐해를 조금이라도 정확히, 또 널리 알려 자동차 운행에 따른 피해를 조금이라도 더 줄여보자고 하는데 근본적인 취지가 있을 것이다.

자동차의 폐해란 무엇인가. 소음과 분진, 매연 등으로 인한 환경 오염에 자동차 교통사고에 따른 인명 피해가 대표적이다. 자동차 운행이 증가하면 할수록 이것 역시 증가하기에, 인간이 편리를 위해 운행을 시작한 자동차로 인해 더 큰 고통을 받아야 하기에 그런 상황을 막아보자고 하는 것이다.

그런데 ‘자동차 없는 날’ 행사와 ‘차 없는 도로’ 운영을 지켜보고 있자니 퍽 씁쓸한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가장 답답한 부분은, 자동차 없는 날 행사 등이 행사 참가자들만의 약속과도 같이 너무도 제한적이었다는 점, 특히 ‘차 없는 도로’를 우회하는 도로는 오히려 평소보다 더 심각한 체증으로 시달려야 하는 광경을 보면서다.

이같은 현상에 대해 ‘우리 시민의식의 단면’, ‘관제 행사의 한계’ 등 여러 평가가 나오고 있으나 어느 것 하나 잘못된 지적이 아닐 것이라는 평가와 함께, 냉정한 재점검이 필요해 보인다는 지적이다.

사회 공동체를 위한 본질적인 노력이라고도 할 수 있는 이같은 일에 시민들의 동참이 매우 부진하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여기에는 우리에게 오랜 세월 뿌리내린 바람직하지 못한 자동차생활 습관이 기인했기 때문이라고 하겠다.

사회 공동체의 이익을 위한 ‘개인 생활의 조정’은 의식의 선진화가 바탕이나 우리에게는 그런 기반이 취약하다는 얘기다.

승용차 10부제나, 관공서 홀짝제 운행도 비슷한 양상을 보이며 우리에게는 실패의 경험으로 남아 있다.

빠르게 달려온 경제성장 가도, 남보다 앞서야 살아남는다는 식의 생존방식의 체질화가 공동체 안녕과 질서 유지에 좋지못한 영향을 끼친 것은 아닌지, 또 이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가 결국 숙제로 남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