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젤택시 시동걸자 여기저기 ‘암초’
상태바
디젤택시 시동걸자 여기저기 ‘암초’
  • 곽재옥 기자 jokwak@gyotongn.com
  • 승인 2015.02.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로6 불구 ‘환경단체·LPG업계’ 반발 거세
 

서울시, 2700대 배당 거부…지방에도 번져

사업자들 경유택시 관심 ‘뚝’…유가하락 원인

환경단체와 타 유류업계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오는 9월 디젤택시 유가보조금 지급을 앞두고 완성차업계의 신차 출시가 한창인 가운데, 정작 연료 다변화가 숙원이었던 택시업계의 관심이 저조하다.

지난해 12월 15일 국토교통부가 디젤택시 도입을 골자로 하는 ‘여객자동차 유가보조금 지급지침’ 일부를 개정·공포했다. 이를 전후로 자동차업계도 다양한 디젤택시를 선보이며 택시시장 공략을 준비 중이다.

일단 택시시장에서 절대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현대는 지난해 9월 LF쏘나타 LPLi를 출시해 평균 2000대 이상의 디젤택시 판매량을 기록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지난달 신형 LPG 탱크 장착 ‘SM5 LPi 도넛’을 선보인 르노삼성도 디젤택시 시장이 본격화되면 시장에 뛰어들 전망이다. 환경성이 대폭 개선된 유로6 기준을 충족하는 차량들이다.

하지만 서울시의 경우 택시 등록대수를 기준(전국 24만 8803대)으로 최근 국토부가 마련한 시도별 배정 대수 지정에서 제외됐다<표 참조>. 처음에는 서울택시 총 7만 531대를 기준으로 2782대를 배당받았지만 서울시가 디젤택시 도입 거부 의사를 국토부에 밝히면서 해당대수가 타 지역으로 분산됐다.

시도별 디젤택시 배정 대수

시의 이 같은 결정은 교통량이 많은 지역적 특성과 환경적 측면을 감안한 조치인 것으로 전해지나, 환경단체와 LPG업계의 강력한 압력이 작용했을 것이라는 추측이다. 현재는 대전·전북 등 전국적으로도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디젤택시 도입 반대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서울에서 운행 중인 디젤택시의 경우 유로6 기준을 충족해도 사실상 유가보조금을 지급받을 수 없게 된 상황이다. 현재 전국 디젤택시 보유현황은 정확한 통계가 나오지 않는 가운데 다만 서울의 경우 개인택시 전체 4만 9362대 중 167대(2015년 2월 26일 현재)가 운영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시의 디젤택시 도입 거부에 법인·개인택시업계도 현재로써는 별다른 불만을 제기하지 않는 분위기다. 유가하락에 따른 LPG 가격하락으로 수입증대를 위한 유종 변경의 필요성을 크게 체감하지 못하는 것이 원인으로 파악되고 있다.

택시업계 한 관계자는 “현재는 LPG 가격이 워낙 내려가 있는 상황이어서 경유에 유가보조금을 지원한다고 해도 경제성으로 볼 때 경유가 오히려 불리하기 때문에 사업자들이 당장 필요성을 느끼지는 못하는 것 같다”면서 “하지만 운행거리 대비 연비를 고려할 때 경유가 1.8~2배 높기 때문에 서울시가 디젤택시를 도입한다면 뛰어드는 사업자가 있을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또한 택시사업자들의 이 같은 미온적 반응은 경영유지를 위해 LPG충전소와 어쩔 수 없이 맺을 수밖에 없는 불가피한 관계가 요인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유류 다양화를 위해 경유택시 도입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실제로는 이를 실현할 수 없는 처지라는 얘기다.

한 택시사업자는 “대부분 영세한 택시회사들은 LPG충전소에서 회사 운영을 위해 자금을 융통하고, 충전소 역시 이를 하나의 영업전략으로 펼치고 있는 게 현실”이라면서 “기존 LPG 차량값보다 개조비용이나 구입비가 훨씬 비싼 경유택시로 전환하기에는 당장 현금유동성이 없는 택시회사들로서도 현실적으로 녹록치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디젤택시 전환 시 차량 개조비용이나 구입비용을 납입금으로 채워야 하는 법인택시 기사들 입장에서도 디젤택시 도입을 무조건 긍정할 수만도 없는 상황이다.

노동계 한 관계자는 “경유택시가 연비가 좋고, 힘이 좋은 건 사실이지만 일단 한 번 오른 사납금은 내려오는 일이 없다”면서 “차량구입비 등이 근로자에게 부담되는 상황이 아니라면 기본적으로 디젤택시 도입은 찬성하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법인·개인 양 업계는 유종 간 경쟁을 통한 LPG 가격안정과 수익률 향상을 위해 업계 숙원이었던 연료 다변화 주장을 꾸준히 펼쳐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