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전기차 발전 전략, “부품 경쟁력 유지하며 인프라 모색해야”
상태바
국내 전기차 발전 전략, “부품 경쟁력 유지하며 인프라 모색해야”
  • 김정규 기자 kjk74@gyotongn.com
  • 승인 2015.05.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로6 등 세계 환경규제 강화에 시장 성장세, 국내 대응전략 ‘안이’

“충전인프라 확대, 소비자 부른다”...경제성 앞서 환경 의식도 중요

세계 자동차 업계의 친환경 트렌드에 맞춰 해외 각국의 전기차 시장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국산 전기차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주력하는 배터리 등 부품 위주의 성장에서 벗어나 인프라 및 보급 확대를 위한 관련 제도와 제반 시스템이 변화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산업조사 전문 기관인 씨에치오 얼라이언스(CHO Alliance)가 ‘성장기로 들어선 전기차(xEV)와 충전인프라의 향후전망과 핵심기술 개발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세계 전기차 시장은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급성장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성장기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다. 또한 이외에도 인도를 비롯한 주요 신흥국까지 전기차 보급 촉진 대열에 가세하고 있는 추세다.

글로벌 환경규제의 강화 바람도 전기차 성장에 한몫하고 있다. 이미 국내에서도 강화된 배출가스 기준인 ‘유로6’가 일부 차종에 시행되고 있으며, 올 6월부터는 3.5톤 미만 차량에 확대 적용된다. 여기에 미국 환경청(EPA)도 자동차 배출허용을 강화해 극초저 배출 차량(SULEV)과 미배출 차량(ZEV) 비율을 점차 높이는 실정이다. 이런 추세에 맞는 차는 전기차 밖에 없다는 것이 업계의 평가이다.

세계 전기차 시장의 중심인 미국에서의 2014년 전기차 판매량은 총 11만9710대로 집계됐다. 2013년 판매량보다 23%, 2012년 판매량과 비교했을 때에는 128% 증가한 수치이다. 하지만, 실제로 전기차를 제조하는 완성차 업체는 글로벌 시장 60~70%를 일본 업체가 점유하고 있다. 지난해 닛산·도요타·미쓰비시가 전기차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배터리 역시 파나소닉 등 일본산이 LG전자, 삼성SDI 등 국내 업체들과 주도권 경쟁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각국 정부별 정책 추진도 뜨겁다. 미국은 경기부양법안 계획의 일환으로 친환경차 보급 촉진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2015년까지 전기차 100만대 보급을 추진하고 있다. EU는 전기차 인프라 구축과 재생에너지 개발에 50억 유로를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중국도 전기차를 2015년까지 백만대, 2020년까지 5백만대 보급할 계획이다. 일본도 전기차 보급 확대에 자국내 자동차 업계가 하나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전기차 관련 R&D 투자는 미국과 중국이 가장 적극적이며, 전기차 구매 지원금은 덴마크가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아직까지 전기차 시장은 세계 자동차 판매 실적 대비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는 아직 충분하지 못한 충전인프라가 문제로 제기되며 객관적인 시장 수요예측을 저해하는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소비자가 선택 의사가 있어도 인프라 부족으로 인해 주저하게 된다는 것이다.

정부 차원의 지원 방안이 시급한 이유다. 업계에서는 충전시설만 충분하면 시장이 현재보다는 크게 활성화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노르웨이에서는 전기차가 버스·택시전용차선을 이용할 수 있는 특권이 제공되며, 2009년부터 시작된 충전시설사업은 전국에 6531개소로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전기차의 확대는 사회적 인식과 맞물릴 수밖에 없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환경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지 않으면 시장 자체의 발전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것으로 경제성만으로 구입하기에는 국내 관련 인프라가 너무 취약하다는 주장이다.

이에 국내 자동차 제조사는 아직까지는 인프라 및 기술적으로 미완성 단계에 있는 전기차의 대안으로 기타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비해 효율성이 높고 일반 전기 콘센트를 이용해 배터리를 직접 충전할 수 있어 도시 운행에 효과적인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 모델’을 경쟁적으로 출시하고 있다.

업계 전문가는 “올해가 확대되는 전기차 및 충전인프라 시장에 주도적인 대응전략 수립이 매우 요구되는 시점”이며 “특히 최근 정부가 마련한 ‘전기차 상용화 종합대책’추진 방향에 따라 큰 변화가 기대되는 국내 시장에 대한 전략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