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음운전 막을 ‘관리’ 필요하다
상태바
졸음운전 막을 ‘관리’ 필요하다
  • 곽재옥 기자 jokwak@gyotongn.com
  • 승인 2015.12.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고 일어나면 들려오는 것이 사건사고 소식이다. 이번 주만 해도 새벽 시간 서울 시내도로 한복판에서 5중 추돌사고가 일어나 5명이 다쳤고, 강원도에서는 고속버스가 화물차를 들이받아 운전기사가 목숨을 잃고 7명이 부상을 당했다. 사고원인은 다름 아닌 ‘졸음운전’이었다.

졸음운전은 그 위험성이 만취운전을 능가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있을 만큼 치명적인 행동이다. 졸음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가 전체 교통사고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20%, 고속도로에서는 20~30% 수준이지만 치사율은 일반사고의 3배에 달한다. 특히나 졸음으로 인한 사고는 자주 대형사고로 이어지기 때문에 결코 가볍게 여길 수 없다.

특히 장거리를 운행하는 고속도로의 경우 심각성은 더한다. 실제 최근 교통안전공단의 실태조사에 따르면 고속도로 운전자 10명 중 4명은 최근 1주일 동안 졸음운전을 경험한 적이 있고, 이중 19%는 사고가 날 뻔한 아찔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졸음운전의 원인으로 자가용 운전자의 절반가량(48%)이 ‘식곤증’을 꼽은 반면 사업용 자동차 운전자의 절반이상(51.1%)은 ‘피로누적’을 꼽았다. 이들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 ‘졸음쉼터’지만 그마저도 시간·노선에 따라 움직여야 하는 근로자들에게는 ‘그림의 떡’이다.

사업용 자동차 운전자들의 졸음운전을 막는 근본 해법은 두말할 것 없이 일상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초과근로를 막는 일일 것이다. 그러나 운전기사 부족, 무리한 배차, 낮은 임금수준, 차량 정비불량·노후화 등 다수 운수업계가 겪고 있는 현실을 비춰볼 때 이러한 조치가 하루아침에 이뤄지기는 힘들어 보인다.

때문에 각 운수회사들은 ‘안전관리’에 절대적으로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건의 사망사고에 따른 물적 손실을 회복하는 기간이 길게는 수년에 이르는 점을 감안하면 ‘안전’은 최선의 경영전략으로 자리 잡아야 한다.

아울러 자동차 제조사 등의 졸음운전 경고시스템 개발·적용, 정부와 교통안전공단이 구축한 DTG(디지털운행기록계) 활용 등은 졸음운전으로부터 한걸음 안전할 수 있는 기술적 대안이 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