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30년만에 ‘교통신호 시스템’ 초고속 무선통신망으로 교체
상태바
서울시, 30년만에 ‘교통신호 시스템’ 초고속 무선통신망으로 교체
  • 정규호 기자 jkh@gyotongn.com
  • 승인 2016.02.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가 30년 만에 교통신호제어 통신시스템을 초고속 무선 통신망으로 교체한다. 이로 인해 통신․공사비가 매년 10억원 줄고, 장기적으로는 신호정보 민간 개방도 가능해져 신호시간까지 계산해 목적지 도착시간을 알려주는 프로그램 등 개발도 이뤄질 수 있게 된다.

시는 교통신호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기존의 저속 유선 통신망→ LTE 무선 통신망으로 교체하는 사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올해부터 통신망 교체를 시작해 내년 말 구축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교통신호제어 무선 통신시스템은 작년 연말 공개모집을 통해 최종 사업자로 선정된 'LG유플러스'가 구축한다.

시는 1987년 효율적인 교통신호 운영을 위해 유선으로 연결된 저속 교통신호제어 통신시스템을 구축했다.

그러나 올해로 30년이 넘은 장비․시스템 노후, 통신기술 발전으로 인해 지속가능한 운영이 어렵다고 판단, 변화하는 차량․통신․도로기술에 적합한 차세대 신호운영 체계를 갖추기 위해 시스템을 개선하기로 했다.

무선 LTE 교통신호제어 통신시스템은 우선 올해 말까지 시내 주요 지점 교통신호제어기 400개소에 구축될 예정이다.

이번에 시스템이 무선으로 교체되면서 기존의 유선 통신비용으로 매년 지출했던 비용 중 2억4000만원/년(기존 10억 원/년→ 무선 시스템 구축 시 7억6000만원/년)과 통신관 매설 등 공사에 투입됐던 8억원을 합해 총 10억원/년 이상을 줄일 수 있게 됐다.

또, 효율이 높은 첨단 장비를 설치해 활용함으로써 전력 사용량도 약 20%(15.6kW→12.6kW) 절감된다.

특히, 신호기를 설치할 때 통신선 매설 등을 위해 보행자, 운전자를 불편하게 했던 보․차도 굴착공사도 없어지고 전신주 등에 어지럽게 얽혀있던 통신선도 사라지게 된다.

시는 이번 기간에 '통합 신호운영실'도 구축키로 밝혔다.

신호운영실은 교통신호를 종합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향후 스마트 신호체계 구축에 대한 연구, 신호정보 민간 개방 등을 관장하는 허브이자 테스트베드 역할을 하게 된다.

장기적으로 신호운영실을 기반으로 한 '신호정보 민간 개방'도 추진할 계획이다. 현재 Open API 형태로 제공 중인 대중교통 정보처럼 신호정보도 일반에 제공되면 실시간 신호상황이 공유돼 민간에서 교통안전․빠른 길 선택 등 서비스 개발이 가능해 진다.

신용목 시 도시교통본부장은 "교통신호 초고속 무선통신시스템 구축은 예산 절감, 효율적인 신호운영 등의 효과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IT 기술 기반 스마트 사회에 대비한 필연적인 작업"이라며 "무엇보다 첨단 기술을 교통분야에 적용해 사고 없이 안전한 교통체계 구축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