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 개선과 대학의 역할
상태바
교통 개선과 대학의 역할
  • 박종욱 기자 pjw2cj@gyotongn.com
  • 승인 2016.06.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폴리패서라는 용어가 있다. 대학에서 후학을 가르치는 이들이 정치에 간여해 직위나 직함을 얻고자 하는 이들을 비판적으로 가르키는 용어다.

이들의 활동과 의도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가 있지만, 근본적으로 교수도 사회적 인간이기에 정치적 참여 의사 표현과 행동이 이뤄지는 것은 자연스럽기까지 하다 할 수 있으나, 그 목표나 방식이 얼마나 양심적이며 순수한 것인가 여부가 논란의 대상이 돼 왔다.

이는 비단 정치관련 학문의 영역에만 국한돼 있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부 교수들은 현실 문제에 매우 적극적으로 참여해 그속에서 자신의 성취를 찾고 있기도 하다.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긍정적 효과도 만만치 않지만, 부작용도 적지 않아 늘 찬반의 뒷이야기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최근 사회적 문제가 된 가습기 살균제와 관련한 어느 교수의 상황을 보면서 하는 말이다.

교통문제에도 그런 현상이 없지 않았다. 학계에서 특정 기술을 바탕으로 한 교통개선의 목소리를 높여 이것이 현실적으로 채택됐을 때 여기에 참여한 이들은 그에 상응한 대가를 취득할 수 있지만, 이후 기대했던 교통개선은 확인되지 않은 채 문제가 심화됐을 경우 이들이 얼마나 그 문제에 관한 책임을 부담해왔는지 확인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물론 학계의 주장을 의심없이, 또는 엄격한 검증없이 채택한 행정의 책임이 우선이겠지만 이를 주도한 학계, 그 중심의 교수는 과연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지 의문이다. 일부 지역에서의 경전철 실패 사례의 배경을 들여다 보면 그런 흔적이 발견된다.

그러나 이 문제는 실패냐 아니냐는 판단으로 소위 학계의 양심을 저울질하기에는 너무 어려운 일이다. 어쩌면 학계의 연구를 현실화하는 단계에서의 주변 여건 불비가 실패를 초래한 1차적 원인일 수도 있다. 그렇지만 그렇다고 연구자의 책임을 알아보는 일은 무의미한가? 그건 결코 그렇지 않다는게 보편적 인식이다.

교통과 관련한 수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고, 현실에 적용되는 연구결과도 적지 않다. 또 그런 일은 더욱 활발히 이뤄져야 한다. 다만 그럴 수록 연구자들의 책임의식도 함께 커져야 한다는 주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