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비 문제 등으로 저상버스 도입 꺼려”
상태바
“정비 문제 등으로 저상버스 도입 꺼려”
  • 이승한 기자 nyus449@gyotongn.com
  • 승인 2016.07.22
  • 댓글 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업계, 잔 고장이나 정비 비용 등 지목
▲ 서울역 주변을 주행하고 있는 저상버스

업계, 잔 고장이나 정비 비용 등 지목

“보급 활성화 위해 적극적 지원 필요”

정부 저상버스 도입 계획이 목표치 대비 미달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일선 버스업계가 정비 등의 이유를 들며 저상버스 도입을 꺼리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앞서 17일 국회 윤영일 의원이 전국 지자체에서 운행되는 시내버스(3만2552대) 대비 저상버스(6751대) 비율이 20.7%에 그쳤고 이는 정부가 2012년 제시했던 도입 목표치(41.5%)에 크게 미치지 못한다고 밝혔다.

당시 국토교통부는 지자체에 따라 사용 연한이 다가와 저상버스로 교체할 만큼 노후한 버스가 없거나, 버스 제조사 공급이 지체돼 예산 집행이 늦춰진 것을 주요한 원인으로 꼽았다.

이에 대해 일부 버스업계 관계자는 정부 해명만으로는 저상버스 보급이 지체되고 있는 상황을 설명하기 힘들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우선 정부와 지자체가 절반씩 부담해 지급하는 보조금을 받을 경우 저상버스 가격이 일반버스보다 오히려 낮아지기 때문에 업체 입장에서 도입 가격에 대한 부담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지난해 현대자동차의 경우 압축천연가스(CNG) 일반버스와 저상버스 판매가격은 각각 1억1936만원과 2억1508만원이었는데, 저상버스에 지급되는 보조금(9934만원)을 감안하면 저상버스 가격이 1억1574만원이 돼 일반버스 보다 낮아진다.

그럼에도 저상버스 보급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알려진 일부 지자체에서 조차 업체에 따라 도입에 난색을 보이는 경우가 제법 있었다.

일부 버스 업계가 지목한 가장 큰 도입 기피 원인은 ‘정비 비용’ 부담이다. 저상버스는 낮은 차체를 안전하게 지지하고 승차감을 개선하기 위한 에어서스펜션이 장착된다. 또한 기존 내연기관과 다른 구조를 지닌 CNG엔진은 물론 완전자동변속기를 달았다. 그만큼 고난도 정비가 필요하고 비용도 상승하게 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숙련도에 따라 달라지지만 정비에 필요한 시간이 일반버스 보다 배 가까이 소요되는 경우가 있고, 비용도 일반버스 대비 1.5배에서 1.8배 정도 더 들어간다”며 “정비 시간이 길어지면 노선 운영에 필요한 버스 배차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고 말했다.

잔 고장 가능성이 높은 점도 기피 원인으로 거론됐다. 차체가 낮다 보니 움푹 파인 곳이나 언덕에서 차체 하부 파손 위험이 크다는 것이다. 또한 전후 차축 중심선으로부터 차량 앞과 뒤까지의 거리를 가리키는 ‘오버행’이 일반버스보다 짧은 점도 회전이나 경사로 주행에 어려움을 주는 요인이라는 지적이다.

저상버스에 장착된 장애인 설비도 문제가 됐다. 현재 저상버스 보조금을 받기 위해서는 중간문 휠체어 탑승 장치와 휠체어 잠금장치 및 탑승자 머리보호대 등을 마련해야 한다. 일부 버스 운전기사들은 휠체어 장비가 고장도 잦지만 작동에 들어가는 시간도 길어 운행에 적지 않은 차질을 준다고 했다.

서울지역 한 버스 운전기사는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버스에 오르기 위해서는 탑승장치를 작동시키고 휠체어를 좌석에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비장애인이 탑승하는 경우보다 시간이 훨씬 많이 소요 된다”며 “종종 장애인이 탑승할 때 시간이 지체된다며 곱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보는 승객이 있어 불편할 때가 있는데, 배차 간격에도 적지 않게 영향을 줘 신경이 쓰이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연비도 도마 위에 올랐다. 통상적으로 저상버스는 연간 10만km를 주행할 경우 일반버스보다 10% 이상 유류비가 많이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버스업계는 정부의 저상버스 도입 취지에는 적극 찬성하는 입장을 보였다. 다만 도입에 따른 업체 부담을 경감할 수 있도록 좀 더 적극적으로 비용 보전이 이뤄지길 바랐다. 버스 준공영제가 시행되는 지역은 ‘표준운송원가’ 등에 반영하면 되지만, 여타 지자체에 있는 버스 업체는 저상버스 도입에 따른 추가 비용 발생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마땅히 없는 상황이다.

한편 저상버스를 제작하는 국내 완성차 업체 관계자는 “해를 넘겨 출고돼 보조금 예산 집행률이 낮아졌다는 국토부 해명이 자칫 공급에 차질이 있는 것처럼 비춰질 소지가 있다”며 “이는 일부 연말 판매 과정에서 벌어지는 일로써 공급에는 큰 문제가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3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공정거래 2016-10-20 12:45:15
정부, 버스운영회사, 제작사 모두가 조금씩 양보를 해야 저상버스 보급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데,
버스운영회사는 경영수익만 말하고 있으니, 좀 양보해야 할것 같네요

율도 2016-08-04 19:44:29
저상버스의 목적이 장애우(휠체어승객)를 승차시키는 목적인데....버스자본가의 경영마인드가 저질이군요.

난지도 2016-07-23 21:41:06
저상버스는 당연히 일반버스보다 비쌉니다.
해법은 표준화입니다.
일본 사례가 있습니다. 배워야 합니다.
저상버스는 노약자, 장애인용이 아닙니다.
시내버스 표준입니다. 시내버스는 내리고 타기가 쉽고 빨라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