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특집] 업종별 핵심이슈 <정비>
상태바
[창간특집] 업종별 핵심이슈 <정비>
  • 김정규 기자 kjk74@gyotongn.com
  • 승인 2016.10.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비업계 독자 개발 KOS 출시 ‘초읽기’

                       (車정비견적프로그램)

손보업계 독점 지위 AOS와 생존 경쟁

                     (車수리비전산견적시스템)

12월 서비스 가동...작업시간․정비항목 현실화 ‘관건’

손보업계, 사업자 이탈 우려 가시화...충돌은 불가피

자동차 정비업계가 독자 개발한 ‘자동차정비견적프로그램(KOS)’이 올해 안 출시를 예고했다. 지난 2014년 12월 시연회를 갖고 프로그램 개발을 알린지 2년여 만이다.

정비업계는 지난해 1월 표준정비시간 의무 게시를 앞두고 개발에 착수해 올해까지 정비항목 확대, 작업시간 현실화, 다양한 현장 의견수렴에 역점을 두고 개발을 진행해 왔다.

KOS 출시가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정비이력전송프로그램 시장에 파장이 예상된다. 그동안 정비사업자의 90% 가량이 사용하면서 독점적 지위를 누려온 보험개발원의 ‘자동차수리비전산견적시스템(AOS)에 대항마가 생기면서 전송프로그램을 두고 손보업계와 정비업계 간 충돌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전국검사정비연합회에 따르면, KOS는 11월 한 달간 시범 사업자로 선정된 정비사업자들의 테스트를 거쳐 마지막 점검을 한 후 12월 업계 자율선택에 따라 보급된다.

현재 정비업계가 주장하는 KOS의 차별점은 신속한 양방향성이다. 회원사가 일선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의견(작업항목 추가, 비현실적 작업시간 수정 등)을 전송하면 시스템이 바로 반영, 데이터 축적으로 조합원들의 정당한 대가를 보장할 수 있는 합리적 표준정비시간 산출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KOS의 발생 배경에 정비업계와 보험업계 간의 해묵은 갈등과 불만이 자리 잡고 있는 만큼 갈등도 예상된다. 모든 정비사업자가 AOS에 대한 불만을 공유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 또 아직 KOS의 실효성이 검증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일선 정비업계 이탈을 손보업계가 보고만 있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벌써부터 사업자 이탈을 우려한 손보업계가 KOS로 변경 시 자동차보험 정비수가 계약 등에 불이익을 줄 수도 있다는 우려가 퍼지면서 논란이 기정사실화 되는 분위기다.

실제 대외적으로 국토부와 손보업계, 정비업계로 구성된 보험정비협의회에서도 ‘정비사업자가 KOS나 AOS 어떤 프로그램을 선택해도 제한이 없다’고 공식석상에서 밝힌 바 있으나 현장에선 계약서 독소조항으로 인해 모순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동안 AOS에 반발해 온 정비업계는 보험사가 자신의 입장에서 개발한 프로그램 견적만 인정하며 연간 20억원 가량의 사용료를 받고 있는 것이 불합리하고, AOS를 사용하지 않으면 수리비를 지급하지 않음으로써 정비공장을 압박하는 수단으로 전락해 공정성을 잃었다고 비판해 왔다.

이에 보험개발원은 지난 7월 AOS 업그레이드를 실시, 현행 차종 당 230여개에 불과했던 작업항목이 450여개로 두 배 이상 확대하면서 정비업계에서 지속적으로 제기하던 보험업계 위주의 편향적 수리비 산출 문제의 공정성을 확보했다고 보고 있다.

한편 정비업계는 내년부터 KOS와 AOS의 시장 경쟁이 본격화 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동시에 대표적인 정보 불균형 시장의 정상화를 위해 ‘소비자 알권리’ 회복에 주력한다고 밝혔다. 전국검사정비연합회 주도 하에 정비업계에서 추진하고 있는 ‘바른 정비’, ‘바른 거래’, ‘바른 기록’ 운동의 일환이다. 과다청구, 허위청구에 관한 문제 발생 시 소비자가 직접 손해사정사를 통해 손해사정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의 강화에 대한 내용이다. 연합회는 ‘올바른 정비문화 확립’을 위해 소비자의 선택권을 확대하는 손해사정제도를 정확히 알려 편법운영 실태를 바로 잡아 정비 시장의 정보 균형을 되찾겠다는 것이다.

연합회 관계자는 “정비 소비자들은 손해사정사제가 시행되면서 정비요금의 부당한 청구에 대해 정확한 요금산정 내역을 청구할 수 있음에도 제도 홍보와 미숙한 운영 실태로 인해 손해를 보고 있다”며 “정비업계가 앞장서 소비자의 청구권을 알림으로써 정보 불균형을 해소하는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