렌터카공제조합 이사장 선임 파동을 보며
상태바
렌터카공제조합 이사장 선임 파동을 보며
  • 박종욱 기자 pjw2cj@gyotongn.com
  • 승인 2016.11.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렌터카공제조합 이사장 선임을 둘러싼 문제가 불거져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렌터카공제조합 초대 이사장의 임기는 지난 3월 만료됐으나 후임 이사장을 선임하지 못해 전임자가 계속 집무를 하면서 제기됐다.

연임을 희망하던 전임 이사장은, 교체를 바라는 업계 다수 여론과 계속 부딛쳤다. 그 과정에서 별도법인 공제조합의 특성에 관한 논란도 뒤따랐다. 당시 이사장은 “업계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해 공제조합을 별도로 설립한 취지에 맞지 않게 연합회가 공제조합에 일일이 간섭한다”고 주장했으나, 연합회는 “필요한 사안에 대한 업계의 여론과 의견을 제시한 것이 전부”라고 강조했다.

연합회는 오히려 이사장이 주도해 제정한 공제조합 정관이나 이사장이 선임한 공제조합 외부 운영위원의 편향성에 대해 지적했다. 업계가 미처 정관의 세세한 부분까지 신경을  쓰지 못한 틈을 타 이사장이 독단으로 공제조합을 운영할 수 있도록 만든 정관부터 잘못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이후 공제위원회가, 전임 이사장을 포함한 2명을 후임 이사장 후보로 국토부에 승인을 신청했으나 국토부가 불승인했다. 해당자가 없으므로 서둘러 후임자 선임을 위한 재공모에 나서라는 주문이었다.

따라서 재공모가 무리없이 진행돼 빠른 시간내 이사장이 정해지기를 바라는 것은 업계 관계자는 물론이고 이번 사단을 보는 주변인들의 공통된 바람일 것이다.

여기서 짚어봐야 할 부분이 있어 보인다. 논란의 단초는 ‘독립공제’에 관한 해석 부분이다. 이런저런 해석이 나올 수 있으나 대부분은 운영의 묘라 할 것이나, 전임 이사장은 결과적으로 이를 살리지 못했다.

업계는 100% 자신들이 낸 비용으로 운영하는 공제조합에 대해 의견을 제기할 수 있어야 하며 그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라고 말하나 전임 이사장은 그런 요구 자체를 부정하는 듯한 자세를 보여옴으로써 갈등을 만들었다.

이번 파동의 교훈은 충분해 보인다. 업계 없는 공제조합은 무의미하며, 독립공제든, 연합회 사업이든 업계의 자산으로 운영하는 공제조합은 업계로부터 벗어나 독자생존할 수 없는 이상 업계와 공존하며 서로 돕고 협력하는 관계를 기본으로 해야 한다는 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