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세종 급행버스체계 '민원에 골치'
상태바
대전∼세종 급행버스체계 '민원에 골치'
  • 임영일 기자 yi2064@gyotongn.com
  • 승인 2016.11.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성 과정서 '교통체증·주차난 유발' 반발 이어져

【대전】대전시와 세종시를 잇는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건설을 두고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다.

지역 상생 발전과 더불어 대중교통 체계의 변환점이 될 것이라는 기대 효과가 있으나, 조성 과정에서 교통체증에 따른 주민 반발 등이 계속되고 있다.

지난 16일 대전시에 따르면 대전역∼세종∼충북 오송을 잇는 광역 BRT가 지난 7월 개통됐다. BRT는 중앙버스차선제를 활용해 일정 구간을 빠르게 닿을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이 BRT를 이용하면 대전역을 기준으로 세종시청까지 36분, 정부세종청사까지는 45분이 걸린다. 기존보다 20∼30분가량 빠르다.

2012년 개통한 유성 반석역∼세종∼충북 오송 노선과 더불어 대전시 동서 양축의 BRT가 구축된 것이다.

대전시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은 여기에 더해 유성 반석역에서 2019년 완공 예정인 유성복합터미널까지 BRT 노선을 잇기 위한 설계 작업도 진행 중이다. 거리는 6.6㎞다.

대전∼세종∼오송 전체 BRT 조성 사업은 2008년 광역경제권 발전 30대 선도 프로젝트로 대전시가 제안해 선정됐다. 충청권 광역교통체계를 구축하고자 국토부, 행복청, 세종시와 협의하며 완성했다.

대전시로선 세종시 건설 파급 효과가 원도심과 도안신도시, 관저지구 등 신도심 지역까지 미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두 도시 상생 발전의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추진한 사업"이라며 "중앙정부에서도 인적·물적 교류를 통한 효과가 클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시는 아울러 도시철도·'타슈(공공 자전거)' 등과 맞물리면 대중교통 중심 도시로의 변환점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조성 과정에 곳곳에서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

설계에 들어간 유성 지역 BRT 구간에서는 일부 교차로 지점에서 좌회전 신호를 없애고 P자 형태로 승용차를 돌리거나 U턴 체계가 갖춰질 전망이다.

이에 대해 유성구의회 일부 의원과 지역 주민은 "일반 차량의 차선 잠식에 더해 신호 시스템마저 바뀌면 교통체증이 심해질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앞서 대전역∼세종∼충북 오송 노선의 대덕구 산업용재특화거리를 지나는 구간 공사 과정도 시끄러웠다.

편도 3차로인 이곳엔 금속자재와 농업용품 등을 취급하는 공구 상점이 몰려 있다. 이곳 상인들은 교통체증에 따른 매출감소와 공실률 피해를 주장하며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시는 민․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피해 최소화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인도를 활용한 정차 허용과 가로수 정비 등을 하기로 했다.

현재는 가로수 뽑기 작업을 진행 중인데, 일부 주민은 "멀쩡한 나무를 왜 없애느냐"는 목소리를 내기도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시 관계자는 "주차난 해소를 위해 앞서 상인들과 협의를 거친 조처"라며 "가로수는 시내 다른 지역으로 옮겨 심을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대전역∼오송 광역 BRT가 세종시민과 세종시 공무원만을 위한 교통수단으로 전락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조원휘 의원은 시 교통건설국 행정사무감사에서 "BRT 노선에 교통섬이라고 불리는 대전 북부 지역의 주민 교통 편의를 고려하지 않은 것은 문제"라며 "세종시민과 공무원의 교통편의만을 위해 만들어졌다는 의구심을 떨칠 수가 없다"고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