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 스타트업을 바라 보는 주선업계의 시각
상태바
물류 스타트업을 바라 보는 주선업계의 시각
  • 교통신문 webmaster@gyotongn.com
  • 승인 2018.01.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스타트업 시장 진입 시 엄격한 기준 적용해야”

[교통신문] 한국교통연구원의 자료에 따르면 2016년말 기준 물류 스타트업이 약 80개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물류 스타트업이 창업 초기에는 주로 단순 배송서비스 위주였지만 최근엔 정보통신 기술들을 접목해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확산되고 있다.

자체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통해 상품의 보관부터 택배 발송까지 원스톱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도 있고 IT기술을 바탕으로 상품 배송과정에서 상품의 재고정보와 주문을 연동해 고객사의 물류효율성을 높여주는 스타트업도 있다. 그러나 그 본질을 들여다보면 아직까지 많은 스타트업이 주선사업의 주요 사업영역인 화물중개 사업을 기본 바탕으로 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이사화물 분야에서도 인터넷이나 앱을 통해 이사고객과 이사 업체를 연결해 주면서 청소 등 이사와 관련된 부가적인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이사화물중개 형태의 스타트업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제조, 유통, 수출입화물 등 일반화물을 중개하는 스타트업의 경우 기존 대형화된 정보망의 사례와 같이 활성화 될수록 많은 물량을 잠식함에 따라 대다수 중소 주선업체 입장에서는 그만큼의 취급물량이 줄어드는 것이므로 부정적 요소로 작용할 수밖에 없고,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스타트업과 중소 주선업체 간 양극화가 심화될 수 있다.

이사화물의 경우 대부분의 스타트업이 직접 이사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과 기존의 허가받은 이사화물업체를 연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 물량잠식에 대한 우려는 적으나 기존의 프랜차이즈 형태와 마찬가지로 스타트업을 통해 물량을 수주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소비자들에게 전가되는 문제가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대형마트가 생기면서 동네슈퍼가 점점 사라지거나 매출이 줄어드는 현상과 같이 시스템에 기반한 스타트업의 성장과 활성화로 인해 중소 주선업체들의 경영환경이 더욱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물류스타트업을 제도적인 측면에서 보면 결국은 물량을 중개하는 주선사업의 형태를 띠고 있으나 다수의 업체가 주선사업의 허가 없이 편법적인 방법으로 사업을 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는 지난해 8월 발표한 화물운송시장 발전방안을 통해 가맹사업을 물류네트워크 사업으로 변경하고 허가기준을 대폭 완화해 물류스타트업에 대한 시장진입을 유도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물류네트워크사업으로 진입하는 물류 스타트업은 현행 주선사업과 거의 동일한 사업의 형태로써 진입장벽이 대폭 완화되는 경우 주선사업의 편법 진입통로가 되며, 이 경우 공급과잉 상태인 주선사업의 허가제 운영과 배치되고 생존을 위한 과당경쟁의 부작용도 우려된다.

따라서 스타트업의 진입유도를 위한 물류네트워크 사업의 허가기준 완화는 신중해야 하고 스타트업의 시장진입에 엄격한 기준이 적용돼야 함은 물론, 주선사업과의 업종통합이 필요하다.

<유철상 화물주선연합회 기획부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