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교통정책 ‘변화의 바람’ 분다
상태바
부산시 교통정책 ‘변화의 바람’ 분다
  • 윤영근 기자 ygyoon@gyotongn.com
  • 승인 2018.08.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공교통혁신본부, 4개과 중심으로 업무 본격화

[교통신문 윤영근 기자]【부산】부산시 공공교통혁신본부가 본격 업무에 들어가면서 주요 교통정책의 ‘변화’가 예상된다.

도시철도 중심의 대중교통체계 개편과 중앙버스전용차로(BRT) 건설 중단 또는 재개 등 대중교통 분야에서 큰 폭의 변화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부산시 공공교통혁신본부는 민선 7기 출범에 따른 조직 개편에 이어 후속 인사로 다소 분산하던 분위기가 정상으로 돌아오면서 주어진 과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종전 교통국에서 국명이 바뀐 공공교통혁신본부 산하에는 공공교통정책과, 버스운영과, 택시운수과, 철도물류과를 두고 있다.

공공교통정책과에 신설된 공공교통혁신팀이 대중교통의 ‘혁신’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시내버스 중심의 대중교통체계를 도시철도 중심으로 개편해 도시철도가 대중교통의 중추적 역할을 맡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공공교통혁신팀은 앞으로 ▲공공교통 혁신대책 발굴 ▲시내버스 준공영제 제도개선 ▲시내버스 경영개선 및 운송원가 절감 ▲대중교통 환승체계 개선 등을 추진한다.

하지만 부산은 배산임해형의 도시 구조로 인해 중앙대로에 교통량이 집중되는 상황에다 시내버스의 수송분담률을 고려할 때 어떻게 대안을 찾을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여기에 현 4개 도시철도 노선만으로는 대중교통 중심 역할을 맡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시가 지난해 실시한 ‘교통조사 용역’에 따르면 시내버스의 1일 평균 수송분담률은 19.4%, 도시철도는 17.8%였다.

공사가 중단된 BRT 재추진 여부는 공론화 과정을 통해 결정된다. ‘대중교통 중심도시 부산’을 구현하고자 역점적으로 추진하던 BRT사업은 오거돈 시장이 취임하면서 전면 중단됐다.

시는 다양한 계층의 시민이 참여하는 공론화 과정을 통해 중단 또는 재추진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시는 시의원, 시민단체, 전문가 등 모두 13명으로 공론화위원회를 구성하고 지난 8일 첫 회의를 열었다.

현재 BRT는 올 1월 동래교차로~안락교차로 구간 개통으로 내성교차로~운촌삼거리 8.7㎞ 구간이 완성된 이후 운촌삼거리~중동 지하차도, 내성교차로~양정, 양정~서면 구간 공사는 중지되거나 계약이 미체결된 상태로 멈춰 있다.

시는 공론화위원회에서 도출한 사회적 합의를 전면 수용하기로 했다.

문제는 공사로 인한 시민불편에다 택시업계의 반발 해소가 과제다.

하지만 ‘땅 위 지하철’로 불리는 BRT는 버스운행에 철도시스템을 도입해 주요 간선도로에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설치하고 급행으로 버스를 운행시키는 새로운 대중교통시스템이다.

버스에 1개 차로를 할당한 것은 버스이용객 수를 고려한 것이며 버스의 주행속도를 높여 승용차 이용수요를 흡수하면 교통혼잡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공급 측면인 도로건설 등으로 해결하려면 토지매입 등의 예산이 BRT 건설비용의 약 80배가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

도시철도 중심의 대중교통체계 개편과 BRT 공사 보류는 오 시장이 지방선거 때 내놓은 공약이다.

택시운수과에 대한 택시업계의 기대가 크다.

택시업계는 ‘택시과’ 신설을 꾸준히 요구해오다 이번에 실현되자 업계가 택시 수송 수요 감소 등으로 인해 겪고 있는 총체적 난제들이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택시운수과에는 택시행정팀이 종전 교통국 때와 같이 택시 관련 업무를 총괄하고 있지만 과명에 ‘택시’가 들어 있는 점을 업계는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와 관련, 관련단체 고위 관계자는 “대중교통 분야는 이해당사자 또는 이해집단 간 입장이 첨예해 한 번 단추를 잘못 끼우면 돌이킬 수 없는 후유증이 우려되는 만큼 우선 시간적 여유를 갖고 현황을 정확히 진단한 뒤 처방을 내려야만 대중교통을 활성화시키면서 이용객의 편의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