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용자동차로 친환경차 보급 활성화 필요”
상태바
“사업용자동차로 친환경차 보급 활성화 필요”
  • 이승한 기자 nyus449@gyotongn.com
  • 승인 2018.10.19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 보급 활성화에 중요키로 주목
▲ [참고사진] 대구 지역 택시업체가 도입한 기아차 니로 전기택시

[교통신문 이승한 기자] 사업용자동차 시장에서 친환경차 보급이 확대될 수 있을까? 전기차·수소전기차 등에 대한 정부 지원·혜택이 늘여나가고 있는 가운데, 친환경차 보급이 활성화되기 위해선 사업용 차량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사업용 차량이 소유자 수익과 직결되는 만큼 차량 성능이나 효율성은 물론 사용 환경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는 본지가 창간 52주년을 맞이해 기획·취재한 결과에 따른 것이다.

국내 친환경차 시장은 올해 큰 폭으로 늘고 있다. 1월부터 9월까지 국내에서 팔린 친환경차는 국산과 수입을 합해 모두 8만1886대로 전년 동기(6만8439대) 대비 19.7% 증가했다. 하이브리드(HEV)·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차량이 6만1014대, 전기차(EV)와 수소전기차(FCEV)는 각각 2만572대와 300대 팔렸다. 이중 전기차 실적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전기차는 전년 동기(9711대) 대비 111.84% 증가하면서 전체 시장을 견인하고 있다. 수소전기차 또한 상품성 뛰어난 모델이 나오면서 본격적인 시장이 형성됐다.

전기차와 수소전기차 실적이 크게 늘어난 것은 정부 지원 혜택이 커졌기 때문. 정부는 지난해 9월 제시한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에 따라 2022년까지 친환경차 200만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전기차 35만대와 하이브리드차 163만5000대는 물론 수소전기차도 1만5000대까지 보급된다. 전기차는 시장 판단에 다소 차이는 있지만, 2030년까지 승용차·택시·버스를 망라해 최소 30만7000대에서 최대 40만1000대까지 누적 보급될 것으로 전망됐다.

친환경차 시장 성장에서 눈에 띄는 건 택시와 버스 등 사업용 차량에 대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지원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정부와 업계 모두 사업용 차량이 친환경차 활성화키를 쥐고 있다고 판단한다. 업계 일각에서 “전기차 부문에서는 택시가 시장 확대를 위한 최적 차량으로 잠재력이 매우 크다”는 전망과 기대가 나오는 까닭이다.

전기택시는 서울·대구·제주 지역을 중심으로 지자체 지원과 보급이 늘고 있다. 서울은 올해(100대)를 기점으로 2025년(1만5000대)까지 보급대수를 늘려나간다. 계획대로라면 2025년 전체 택시 7만대 가운데 4만대가 전기택시로 전환된다. 120여대가 운행되고 있는 대구는 2023년까지 법인택시(6500여대) 전부를 전기차로 바꾼다는 계획이다.

버스 부문에서 친환경차 도입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전기버스는 내년에 올해(150대) 보다 2배 늘어난 300대가 보조금 지원을 받아 보급된다. 수소전기버스 32대도 시범 도입된다. 시내버스 용도로 30대, 경찰버스도 2대가 각각 투입된다. 정부는 지자체와 협력해 서울 등 주요 5개 도시에 2022년까지 수소버스 1000대를 보급한다. 서울은 오는 2027년까지 시내 모든 버스를 수소전기버스 또는 전기버스 등으로 교체할 계획이다. 울산은 2035년까지 모든 시내버스를 수소전기버스로 교체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우선 2030년까지 전체의 40%를 교체한다.

화물차 부문은 경유차 제한 정책과 맞물려 친환경차 도입이 추진되고 있다. 특히 택배시장은 전기화물차 상용화 가능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로 여겨진다. 하루 운행거리 등을 감안할 때 현실적으로 최적 여건을 갖췄다는 평가다. 정부가 보조금(2000만원)을 신설하고 최대적재량 1.5t 미만 친환경 화물차에 화물운송사업 신규허가 영업용 번호를 부여하는 이유다.

물론 해결 과제는 많다. 친환경차 성능과 주변 인프라 등에 대한 업계 현장 의구심이 크기 때문이다. 택시업계는 전기택시 주행거리와 충전 인프라 등에 대한 걱정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다. “일반 택시 모델 보다 비싼 전기택시를 구입했을 때 과연 충분한 수익을 낼 수 있겠냐”는 지적도 여전하다. 버스업계는 인프라와 구매 지원금 확대를 바란다. 다른 사업용 차량 보다 보급화 속도가 빠를 것으로 예상되지만, 단가 비싼 전기버스 구입과 인프라 구축비용을 업체 혼자 부담하기 어렵다. 화물업계는 전기화물차가 경유차와 동일한 수준으로 업무 수행이 가능한지에 대해 검증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 때문에 전기화물차 양산이 본격화되는 내년 이후 시장 상황을 보겠다는 신중론이 우세하다.

운수업계 관계자는 “기왕에 정부가 친환경차 보급에 의욕을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사업용 차량 보급을 통해 시장 활성화를 이루겠다는 계획은 충분히 공감할 수 있고 방향성 또한 일견 타당하다고 본다”며 “다만 생계나 수익과 밀접하게 관련 있는 사업용 차량이 자칫 친환경차 확대를 위한 테스트 수단으로 전락하지 않도록 업계가 수긍하고 따를 수 있는 수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helloworld 2018-10-19 17:09:40
수많은 정부지원사업 수행 경험의 흥무소프트로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