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창간특집] 신기술 시장 혁신, 스타트업 '모두의 주차장'
상태바
[2018 창간특집] 신기술 시장 혁신, 스타트업 '모두의 주차장'
  • 김정규 기자 kjk74@gyotongn.com
  • 승인 2018.10.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동현 공동 CEO “교통의 중심은 주차다”
 

[교통신문 김정규 기자] "교통의 시작과 끝은 주차다. 어느 곳이건 주차면에 멈춰있던 차량이 출발해야만 교통의 흐름이 생긴다. 또 운행의 마지막은 안전하고 바른 주차에 있다. 이것은 자율주행으로 대표되는 미래차의 기술에서도 변하지 않는 것으로, 주차는 교통의 기본이자 핵심이다."

주차정보와 결제의 통합중개플랫폼 '모두의 주차장'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공유'를 핵심가치로 삼으면서 출발했다. 주차공유, 주차정보, 스마트파킹 사업 영역 전반에도 공유의 정서가 깔려 있다. 공유라는 개념이 부족하던 시절부터 출발한 창립이념이다.

여기서 출발한 모바일 앱은 과거 거주자운선주차장 운영의 불합리함을 해소하고자 하는 문제의식을 시작으로, 거의 독점에 의한 '죽은 공간'으로 활용되던 거주자우선주차 공간에 생명력을 불어넣었다.

'모두의 주차장' 김동현 공동 CEO는 "우리나라의 불법 주정차 문제는 시민들의 질서의식이 유난히 부족해서가 아니라 어쩔 수 없는 국내 도로의 구조적 한계, 주차정보 부족, 제도적 환경에서 비롯됐다"고 한마디로 정리했다. 정보 인프라의 부재와 시설 관리와 단속의 어려움이 지금까지 불법 주정차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감수하는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것이다.

모두의 주차장은 '공유'의 사회적 가치 속에서 '경제성'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합리적 대안 마련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주차장 공간 하나 만드는데 드는 비용 약 5000만원. 이 비용을 민관 협력모델로 절약하면서 사회에서 요구하는 ‘공유가치’를 실현하겠다는 데 방점이 찍혀 있다.

 

‘모두의 주차장’은 흔한 주차정보 앱이 아니다. 4차 산업혁명 속 정부의 공유경제 추진과 맞물리면서 '공유 철학'을 모바일 앱에 심었다. 때문에 많은 지자체와 업무협약을 통해 공공성을 인정받고 있다. 특히 ‘민간 협력형 주차 공유 모델’의 한 축을 차지하면서 가시적 성과를 내고 있다. 현재 서울시 자치구 22곳에서 ‘모두의 주차장’ 플랫폼을 쓰고 있다.

특히 모두의 주차장 플랫폼을 활용한 서초구의 공유주차 정책의 성공은 다른 지자체와 자치구의 벤치마킹의 대상이 되고 있다. 지난해 최초로 이 시스템을 도입한 서초구는 제도 시행 초기 하루 평균 공유 실적이 1대도 되지 않자 1년 간 주차장 배정자의 총 공유 시간을 점수로 환산해 다음 년도 재배정시 점수로 반영하는 방식으로 전환하면서 50.45대(지난 3월 기준)로 대폭 확대되는 효과를 거두면서 민관 협력모델의 우수사례가 되기도 했다.

모두의 주차장의 미래는 상업용 주차장의 유휴공간을 활용하는데 있다. 10000개가 넘은 주차공간에 공유의 개념을 담은 사업성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김동현 대표는 “이미 해당시설들이 주차 관제 등 연계 가능한 시스템이 구축돼 있는 만큼 민간 사유지의 주차공간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이용자와 공유 또는 협력을 이끌어내는 것에 사업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모두의 주차장'은 2013년 2월 출범한 스타트업으로, 2018년 6월 기준 누적 다운로드 180만건. 일평균 주차정보 사용자수 3만명. 월평균 주차장 조회건수 600만건에 달하는 성적을 냈다. 경쟁 주차 앱과 비교해도 괄목할만한 성장세를 기록 중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