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의 무게가 목소리의 무게다
상태바
책임의 무게가 목소리의 무게다
  • 김정규 기자 kjk74@gyotongn.com
  • 승인 2018.12.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교통신문 김정규 기자] ‘책임’. 어떤 행위가 그 행위의 주체로 돌아가는 것. 어떤 일에 관련돼 그 결과에 대해 지는 의무나 부담. 또는 그 결과로 받는 제재. 사전적 의미가 그렇다. 우리는 도덕적, 법률적, 도의적, 사회적, 개인적 책임 등이라는 말로 매일 이 의미의 무게를 견디며 살아간다. 무게의 경중은 사람마다 단체마다 다르겠지만 하루도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만큼 이 말의 의미가 무겁기도 하다.

결국 그 무게만큼 책임을 다하지 않으면 말이 나오는 것을 막을 수는 없기 마련이다. 이를 우리는 구설(시비하거나 헐뜯는 말)이라 하고 최근 자동차관리업계 내 정비업계가 구설에 휘말렸다.

지난달 초 정비업계는 청와대 앞 릴레이 시위에 나서며 정부가 공표한 보험정비요금을 두고 카운터파트인 손보업계의 등급판정 과정의 불성실함과 ‘갑질 계약’에 분노하며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양 업계의 갈등을 방관하고 있는 금융당국에 대한 비판도 연일 쏟아냈다. 지금도 시위는 진행 중이다.

그러나 업계의 성난 소리는 구설에 희석되며 절실함을 의심 받았다. 일각에선 정비업계를 대표하는 사업자단체의 수장과 일부 지역조합 이사장들이 굳이 왜 이 시점에서 ‘자동차정비 관련 해외 선진사례 산업시찰(전국검사정비연합회 표현)’이라는 명목으로 자리를 비웠는지 물으면서다. 연초부터 계획돼 있던 일정이었을 테고 산업연수 형식의 해외 출장의 진정성을 비난할 이유는 어디에도 없다. 그것은 누가 판단할 문제가 아니다. 하지만 출장 소식이 전해졌을 경우 비난이 일 것이란 판단이 가능한 상황에서 일정을 밀어붙인 연합회의 행정은 쉽게 이해가기는 어렵다.

다른 목소리는 언제든 존재한다. 현재 둘로 쪼개져 있는 연합회의 현실에선 더욱 그렇다. 어느 사업자단체든 하나의 목소리를 내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이 말은 언제든 다른 목소리의 비판에 직면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것이다. 처신 하나 하나에 책임이 따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연합회는 인정하고 싶지 않겠지만 업계의 외침에 다소나마 흠집이 났다. 물론 다시 대열을 정비해 ‘단일대오’를 위해 새롭게 피켓을 들으면 된다. 우리는 국가적 재난이나 중대한 위기에서 정치인, 공문원들의 외유와 일탈 행동이 자주 입방아에 오르내린 기억을 갖고 있다. 사과도 없이 묻히는 경우가 허다하지만 도의적 책임, 사회적 책임을 묻는 비판은 이런 이슈에서 자주 등장했다.

법률적 책임뿐만 아니라 모든 책임은 우리 생각보다 무겁다. 이제라도 연합회는 정비업계 현장에서 들려오는 목소리의 무게를 다시 잴 필요가 있어 보인다. 추운 겨울날 청와대 앞 분수광장에 있는 수많은 단체의 피켓에 담긴 내용은 딱 그만큼의 무게를 의미하고 있어서다. 메시지는 정치적이든 개인적이든 절실함과 진정성이 바탕이 돼야 파급력을 갖는다. 책임의 무게가 목소리의 무게이자 주장의 무게임을 다시 한 번 곱씹을 때는 바로 지금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