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들쭉날쭉 상용차 실적, 개선 요구 많다
상태바
[단독]들쭉날쭉 상용차 실적, 개선 요구 많다
  • 이승한 기자 nyus449@gyotongn.com
  • 승인 2019.08.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3년 이후 정확한 정보 확인 막혀
원 자료 기준 따라 발표 수치 제각각
“업체·소비자 알권리 막아 혼선” 지적
제한 두고 통일된 자료 공개돼야 요구
[참고사진] 사진은 본문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참고사진] 사진은 본문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교통신문 이승한 기자] 상용차 시장 일각에서 부정확한 실적 통계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업체는 정확한 판촉·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을 비롯해 시장 상황에 대응하기 어렵다고 했고, 일선 차주들은 차를 고를 때 유용한 정보가 없어 힘들다고 각각 하소연했다.

국내 상용차 판매 실적은 8톤 이상 대형트럭 기준으로 지난 2013년 이후 정확한 규모를 가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같은 해 7월 공정거래위원회가 덤프·트랙터·카고 등 대형화물상용차 시장에서 판매가격을 담합한 7개 업체에 시정명령과 함께 1160억원에 이르는 과징금을 부과하고 각 사업자를 검찰에 고발했다. 이와 함께 실적 등의 정보 공유는 물론 업체 임직원 모임을 사실상 금지하면서 판매대수가 어느 정도인지 확인할 길이 막히게 됐다.

상용차 판매 실적은 이후로도 공개되고는 있지만, 공개 기관·협회가 어떤 자료를 썼는가에 따라 제각각이라 정확한 정보를 얻기는 쉽지가 않은 실정이다. 특히 국산차의 경우 매월 말 한국자동차산업협회가 국토교통부 등의 자료를 토대로 전체 판매대수와 모델별 실적 등을 비교적 상세하게 공개하고 있지만, 시장 규모가 커지고 있는 수입차는 여전히 정보가 정확하지 못하다는 지적이다.

이런 상황은 최근 공개된 각종 올해 상반기 내수 상용차 판매 실적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이하 자동차협회) 자료에 따르면 상반기 상용차 판매량은 버스(3만1887대)와 트럭(9만1127대), 특장차(8720대)를 합해 13만1734대로 나타났다. 전년 동기(12만8792대) 대비 2942대 증가했다. 자동차협회가 발표한 실적은 국산차만 해당된다. 업체별·모델별 실적도 비교적 자세하게 공개되고 있다. 반면 수입차는 내수 판매실적을 확인할 수 없다. 대신 수입 규모만 확인가능하다. 상반기 상용차 수입은 버스(509대)·트럭(3844대)·특장차(678대)를 합해 5031대다. 전년 동기(3851대) 대비 30.6% 늘었다. 어떤 업체가 어떤 차종을 들여왔는지는 확인이 불가능하다. 자동차협회 자료는 업체가 공개한 실적에 근거한다. 따라서 소속 회원사인 국산차 업체 자료가 상세할 수밖에 없다.

수입차 실적은 지난 2017년부터 일부만 확인할 수 있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이하 수입차협회)가 소속 5개 브랜드 판매량을 공개하기 시작하면서부터다. 공개 당시에는 덤프트럭 등의 실적이 빠진 제한적 수준이었는데, 올해 들어 덤프트럭도 공개 실적에 포함됐다. 수입차협회 자료에 따르면 상반기 판매량은 2569대. 덤프트럭 실적을 제외할 경우 2024대로 전년 동기(2364대) 대비 14.4% 하락했다. 차종별로는 특장(1106대), 트랙터(776대), 덤프(545대), 카고(123대), 버스(15대), 밴(4대) 순이다. 수입차협회 통계는 전체 수입 상용차 시장 규모를 확인할 수 없다. 소속 브랜드 이외 실적과 일부 병행 수입된 차량 실적이 포함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자동차 데이터 연구업체 ‘카이즈유’가 공개하고 있는 자료는 국산차·수입차 전체 실적을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다. 카이즈유 자료는 국토교통부 자동차등록 데이터를 기준 삼는다. 이에 따르면 상반기 상용차 실적은 국산차(13만3243대)와 수입차(4220대)를 합해 13만7463대다. 전년 동기(13만4802대) 대비 2661대 늘었다. 국산차는 2.5% 증가한 반면 수입차는 12.0%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등록된 모든 자동차를 기준 삼다보니 국산차의 경우 자동차협회 자료에서 누락된 에디슨모터스와 기타 업체 등의 실적이 포함됐고, 수입차는 중국산 브랜드와 미국 등지에서 병행 수입된 차량 실적이 담겼다. 아울러 자동차협회와 수입차협회를 통해 공개된 업체와 브랜드 실적은 카이즈유 것과 정확하게 일치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협회는 판매량, 카이즈유는 등록을 기준으로 삼기 때문이다. 특장차 실적을 완성차업체와 특장업체 가운데 어디 것으로 잡는 지가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은 점도 원인으로 지목된다. 카이즈유 실적이 공개된 직후 협회 등이 시장에서 정보 왜곡과 혼선을 불러일으킨다며 반발하기도 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정확한 실적 정보가 필요한 시장에서 곤란을 겪는 일이 제법 있다. 업체는 정확한 정보를 알 수가 없다보니, 중장기 판촉·마케팅 전략을 짜는 것은 물론 급변하는 시장 상황에 맞춰 대응하기가 어렵다고 한다. 특히 수입차 업계가 이런 문제 때문에 혼란이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상용수입차 브랜드 한국법인 한 관계자는 “시장이 활황일 때야 문제가 없지만, 요새처럼 어려울 땐 재고 상황이 민감한 문제가 되기 때문에 해외에서 몇 대를 들여와야 하는 지 등에 대한 정확한 계획 수립이 중요하다. 그런데 전체 시장 규모와 실적 수치 동향 등을 명확하게 알 수 없어 어려움이 적지는 않다”고 했다. 업체는 2013년 공정거래위원회 조치 이후 내부적으로 경쟁 업체 직원들끼리 공식적인 만남을 금지하는 경우가 많다고 밝혔다. 사실상 협회 등이 공개한 자료에 의존하는 것이 전부일 수밖에 없다.

일선 현장에서 차를 구입한 차주들도 어려움을 호소한다. 수입 대형트럭을 소유하고 있는 김모(50)씨는 “승용차는 사람들 기호가 구입할 때 많은 영향을 주지만, 대형트럭은 효율과 성능 등이 차를 선택하는 중요한 척도가 된다. 따라서 어떤 차가 잘 팔렸는지는 곧장 그 차가 시장에서 잘 통하는 좋은 차라는 것을 입증하는 좋은 수단이 될 수 있다.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정확한 정보를 확인할 길이 없다보니, 괜찮은 차를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빼앗긴 기분”이라고 했다.

일부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일정 가이드라인을 설정해주고 협회 등의 기관이 이를 토대로 정확하고 통일된 실적을 공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담합으로 문제가 됐던 것 가운데 판매량을 제외한 가격인상 계획, 할인율, 재고량, 판촉계획, 지역별 영업인력 배치 현황 등의 정보는 계속 규제를 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담합을 막을 수 있다. 담합에 따른 문제점 못지않게 일선 시장에서 겪는 혼란을 줄일 수 있도록 꼭 필요한 정보에 대해서는 정부가 나서서 제한을 두고 제공하는 쪽으로 개선돼야 한다”고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