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버스 친환경화' 서울시 요구에 업계 ‘난색’
상태바
'전세버스 친환경화' 서울시 요구에 업계 ‘난색’
  • 안승국 기자 sgahn@gyotongn.com
  • 승인 2019.09.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세버스조합, “차고지·인프라 부족에 구입비용도 부담”
타시·도 차량 영업 등도 문제…전기중형버스 운영 필요

 

[교통신문 안승국 기자] 서울시가 전세버스의 친환경화를 요구하고 있지만 업계는 난색을 표하며 신중한 접근을 촉구했다.

최근 시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시민들에게 자전거·지하철 등의 이용을 권장하고, 대중교통을 친환경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에 시내버스에 적용중인 압축천연가스(CNG)버스와 시범 운영 중인 전기버스를 전세버스에 도입할 것을 주문하지만 업계는 유지·안전관리를 위한 차고지와 충전·정비를 위한 인프라가 부족하고, 신조차 구입에 대한 비용부담 등을 이유로 이의를 제기했다.

전세버스조합에 따르면 서울 시내 전세버스는 대부분 배출가스저감장치(DPF)가 부착되거나 부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출고되고 있다. 유럽연합(EU)이 환경보호를 위해 적용하고 있는 배기가스 기준인 유로4 이상을 이미 충족하고 있는 상태인 것이다.

CNG버스는 지난 2005년부터 사업성을 검토했으나 경유가 인상과 정부의 각종지원 및 유류보조금 지원대상에서 배제돼 충전소와 출력 및 연비문제 등으로 백지화됐었다. 전기버스는 아직 시험단계에 머물러있으며, 이 또한 중량으로 인한 연비와 가격문제 해소가 힘들다.

조합 관계자는 “업계가 영세해 신조차 구입에 대한 부담이 크므로 경유차량과의 차액분 전액 보조와 신조차 구입에 따른 차량구입비 저금리 또는 무상융자 방안 수립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또한 충전소와 차량정비를 위한 인프라구축이 필요하며, 업계에 대한 지원이 전무했기 때문에 친환경차량 유지관리를 위한 차고지 조성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기질 개선 방안으로 전기 중형버스를 운영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의견도 내놨다. 조합에 따르면 시내 전세버스 가운데 대형이 약 2000여대, 중형이 약 1000여대인데, 실제 시내에서 운행 중인 차량들은 대부분 학원차 같은 중형버스로, 경유 차량이다. 이에 전기 중형버스를 만들어서 시가 지원금을 보조해준다면 실효성 있는 대기질 개선책이 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불법 밤샘주차를 포함한 타시도의 불법영업과 자가용버스의 유상운송행위 문제점도 시사했다. 경기도 및 수도권 인근의 전세버스차량 약 6000~7000여대가 서울로 유입돼 운행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절반정도가 서울에서 밤샘주차까지 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므로 이에 대한 해결이 병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서울에 등록된 전세버스 대수의 4~5배에 해당하는 자가용버스는 불법유상운송행위를 서슴지 않고, 제도권의 사각지대에 놓여 관리감독이 전혀 되지 않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상주영업 같은 경우 해당 지역에 영업소를 개설하게 돼있지만 실상은 불법 운영이 다반사”라며 “영업소를 개설하고 정식적으로 친환경차량을 구입할 수 있도록 대상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