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차 신뢰 회복 아직 멀었다…“제재 강도 높여야”
상태바
중고차 신뢰 회복 아직 멀었다…“제재 강도 높여야”
  • 김정규 기자 kjk74@gyotongn.com
  • 승인 2019.11.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경연 설문조사…‘차량 상태’ 불신, 이미지도 ‘낙후’ '불투명'
중고차시장 정상화 위해 대기업 진입 찬성도 51.9% 차지
매매업계 “생계형 지정 앞두고 나온 조사결과라 저의 의심”

[교통신문 김정규 기자] 중고차 시장에 대한 소비자 불신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허위매물이나 불법행위를 차단할 수 있는 보다 강력한 제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또한 최근 업계 내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는 중고차매매업종 생계형 적합업종 지정에 대해서도 ‘긍정’보다는 ‘부정’ 여론이 절반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이 대기업 진입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매매업계 일각에선 이 같은 데이터 결과에 대해서 ‘숨은 의도’를 의심하고 있다. 생계형 적합업종 여부를 두고 중소사업자와 대기업이 신경전을 하고 있는 사이 의도적으로 중고차 시장 신뢰도를 문제 삼으며 대기업의 입맛에 맞는 조사결과가 나왔다는 것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중고차 시장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조사한 결과, 설문 응답자 76.4%가 중고차 시장에 대해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중고차 시장 이미지에 대해 '약간 불투명·혼탁·낙후'라고 답한 비율이 45.7%로 가장 많았고, '매우 불투명·혼탁·낙후'가 30.7%로 뒤를 이었다.

'투명·깨끗·선진화' 등 긍정적인 이미지라고 답한 비율은 모두 합쳐 17.5%에 불과했다.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게 된 이유로는 49.4%가 '차량 상태 불신'을 꼽았다. 이어 '허위·미끼 매물 다수'(25.3%), '낮은 가성비'(11.1%), '판매자 불신'(7.2%), '판매 후 피해 보상 및 AS 불안'(6.9%) 순이었다.

중고차 구매 경험이 있는 소비자 중 구입 과정에 만족했다는 답은 37.8%에 그쳤다. 불만족이라고 답한 소비자들은 그 이유로 '품질 신뢰 곤란'(37.6%), '딜러에 대한 불신'(26.4%), '가격 적정성 신뢰 곤란'(19.4%) 등을 꼽았다.

중고차 구입 경험이 없는 소비자 중 앞으로도 중고차를 사지 않을 것이라고 답한 비율은 54.9%에 달했다. 이유는 '차량 상태 불신'(41.3%), '사기 피해 우려'(25.0%), '신뢰할 수 있는 매매 채널 부재'(15.2%) 등을 꼽았다.

중고차 시장 신뢰도를 높이고 투명화하기 위한 정상화 방안으로는 '불량 판매에 대한 제재 강화'(32.8%)가 필요하다는 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차량 이력 관리 신뢰성 강화'(31.8%), '신뢰성 있는 기업의 시장진입 확대'(19.9%), '중고차 AS 강화'(15.5%) 등 순이었다.

대기업의 중고차 시장 진입에 대해서는 51.6%가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부정적'이라는 답은 23.1%였다.

한경연은 “중고차 시장의 거래량은 연간 207만대로 신차의 약 1.2배 수준으로 많지만, 매매 과정에서 소비자 피해가 자주 발생해 신뢰가 매우 낮다”며 “외국 자동차 브랜드가 이미 국내 중고차 시장에서 활동 중인 만큼, 국내 대기업의 진입장벽을 철폐해 소비자에게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국내에서 중고차 매매업은 2013년 3월부터 지난 2월까지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돼 대기업의 시장 진입이 제한돼왔다.

때문에 국내 완성차 업체 중 중고차 시장에 진출한 곳은 없다. 동반성장위원회는 오는 6일 중고차 매매업을 생계형 적합업종으로 추천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동반성장위가 추천하면 중소기업부가 6개월 안에 지정 여부를 결정한다. 중기부가 생계형 적합업종으로 지정하면 매 5년 심의 후 재연장된다.

하지만 매매업계 일각에선 이번 조사 결과로 나온 데이터의 공정성에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 전경련 산하 연구기관의 조사는 대기업의 이익을 반영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설문조사가 어떤 방식으로 진행됐든 전경련의 입맛에 맞게 데이터 결과가 나올 수밖에 없다는 합리적 의심을 지울 수 없다”며 “최근 대기업과 중소사업자 간 첨예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생계형 적합업종 지정 여부를 앞두고 이런 조사 결과가 나온 저의가 의심스럽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이번 설문은 지난달 25∼27일 전국의 성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는 ±3.1%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