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브랜드 세계 자동차 시장 점유율 확대
상태바
한국 브랜드 세계 자동차 시장 점유율 확대
  • 이승한 기자 nyus449@gyotongn.com
  • 승인 2020.03.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7.6%로 전년 대비 0.2%P 상승
“차량 고급화·차별화 전략 주효” 요인
주요 시장 승용차 판매 전년比 4.2%↓
침체 속 유럽·일본·한국 브랜드는 선전
인도에서 판매되고 있는 현지전략형 현대자동차 베뉴
인도에서 판매되고 있는 현지전략형 현대자동차 베뉴

[교통신문 이승한 기자] 한국 자동차 브랜드 세계 시장 비중이 확대됐다. 주요 글로벌 시장에서 차별화·고급화 전략을 펼친 것이 주요한 요인으로 꼽혔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가 미국, 유럽연합(EU), 중국, 인도, 멕시코, 브라질, 러시아 7개국 승용차 판매실적과 자동차산업 정책을 분석한 ‘2019년 해외 주요 자동차시장 및 정책 동향’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주요시장 승용차 판매는 전년 대비 4.2% 감소해 세계 시장규모가 2년 연속 줄어들었고, 감소폭도 2018년 0.8%에서 2019년 4.2%로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도 시장이 전년 대비 12.7% 감소한 것을 비롯해, 중국 시장도 9.5% 대폭 감소했을 뿐 아니라 멕시코와 러시아가 각각 7.5%와 2.3% 감소하는 등 주요 신흥시장 중심으로 시장규모가 축소된 것이 주된 요인으로 지목됐다.

반면 선진국 시장은 상대적으로 견조한 모습을 보였다. EU는 전년 대비 1.2% 증가해 시장규모가 6년째 확장세를 보였고, 미국은 전년 대비 1.4% 감소했으나 여전히 1700만대에 육박하는 시장규모를 유지했다.

브랜드 국적별로는 유럽, 일본, 한국 브랜드는 상대적으로 선전했지만 미국과 중국 브랜드는 부진했다. 유럽 브랜드는 EU와 중국 중심으로 판매가 전년 대비 0.6% 증가해 시장 점유율이 2018년 31.0%에서 2019년 32.6%로 높아졌다. 일본 브랜드 판매는 전년 대비 3.2% 감소했지만 중국에서 유일하게 2.3% 증가하면서 시장점유율이 2018년 25.3%에서 2019년 25.6%로 상승했다.

한국 브랜드는 미국, EU, 인도에서 시장 특성에 맞는 모델을 투입한 것이 주효해 각각 4.6%, 2.8%, 1.0% 증가했다. 반면 중국 시장에서 14.4% 감소한 것이 큰 영향을 줘 전체적으로 1.9% 감소했다. 시장 점유율은 2018년 7.4%에서 2019년 7.6%로 상승했다. 시장 특성에 맞는 차별화 전략에 더해 고급화 전략을 펼친 것이 요인으로 꼽혔다.

반면 미국 브랜드는 브라질을 제외한 6개 시장, 특히 중국 시장(9.5%↓)에서 20% 이상 급감해 전체적으로 6.1% 감소세를 보였다. 시장점유율도 2018년 19.1%에서 2019년 18.7%로 떨어졌다. 중국 브랜드도 중국 시장 부진(15.9%↓)으로 전년 대비 15.7% 감소하면서 시장점유율이 2018년 15.1%에서 2019년 13.3%로 크게 하락했다.

지난해 4분기 발표된 주요국 정책 동향을 살펴보면, 각국은 전기동력차 보급과 자율주행차 개발 지원 등 미래차 산업을 육성하는 한편 내연기관차 관련 고용 감소에 대비한 지원책도 적극 검토 중이다.

EU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2025년까지 무공해 및 저공해차를 1300만대 보급할 계획이다. 특히 독일은 2030년까지 전기차 1000만대 보급에 충전인프라 100만개 확대 계획을 밝혔다. 미래차로 산업개편 가속화에 따라 내연기관차 관련 인원 중심으로 독일에서만 최대 40만개 일자리가 사라질 수 있다는 ‘독일미래모빌리티플랫폼’ 전망에 따라 독일 정부는 내연기관차 관련 근로자 직무 전환 교육 강화를 위한 보조금 지급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은 올해 수소차 5000대를 신규 보급하는 등 2025년까지 신차 판매 25%를 전기동력차로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정만기 KAMA 회장은 “지난해 한국 브랜드는 세계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선전했지만, 자동차시장 환경 급변과 중국의 추격을 고려하면 향후 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뒷받침이 절실하다. 특히 단기적으론 ‘코로나19’로 인한 계획대비 40% 이상 조업차질 만회를 위해 충분한 특별연장근로 허용과 노조의 적극적 협조가 필요하고, 중장기적으론 해외 산업 이전으로 인한 국내 자동차 부품산업 기반 약화를 보강하기 위한 부품생산체제 고도화와 생산성 범위 내 임금안정과 노동유연성 제고가 신속히 추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