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성 높아지는 ‘전기차 배터리’, 대외 악재 ‘산 넘어 산’
상태바
불확실성 높아지는 ‘전기차 배터리’, 대외 악재 ‘산 넘어 산’
  • 김정규 기자 kjk74@gyotongn.com
  • 승인 2020.04.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이은 악재에 성장세 ‘발목’…“연쇄 피해 불가피”
자국 시장 보호정책에 실적 타격에 돌발변수 속출
中 보조금 연장, 유럽선 환경규제 완화 가능성 제기

[교통신문 김정규 기자] 세계 시장에서 잘 나가던 한국 배터리산업이 코로나19에 발목이 잡혔다. 매년 최대 실적을 경신하며 성장세에 있었지만 코로나를 비롯한 대외악재가 겹치면서 향후 불확실성이 가중되는 모양새다.

전 세계적인 코로나 확산 여파가 자동차산업에 직격탄을 때리면서 글로벌 완성차의 생산·판매가 급감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 정부가 내년부터 폐지하기로 했던 자국 업체 대상 보조금 제도를 연장한 점도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여기에 유럽에선 코로나19 여파로 자동차 배기가스 규제를 완화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신에너지 자동차 구매 보조금 폐지 시점을 올해 말에서 2022년 말로 2년 더 연장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중국 자동차 산업이 큰 타격을 입자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보조금 제도를 유지하는 것이다. 보조금을 받는 대상은 중국 정부가 지정한 차량 모델로 한정된다.

그간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 한국 업체의 배터리를 탑재한 차량은 보조금 지급 대상에 오르지 못하다가 지난해 말부터 빗장이 열렸다. 3월 중순 현재 보조금을 받는 한국 기업 배터리 장착 전기차는 총 4개 모델이다.

이제야 한국 업체들이 중국 시장 진입을 시작하려는 상황에 중국 보조금 정책이 연장되면서 한국 등 해외 업체들에는 타격이 불가피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내 배터리 3사는 보조금이 폐지될 예정이었던 2020년 이후 제품력을 앞세워 중국 배터리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경쟁하며 중국에 대규모 배터리 공장을 건설, 수주전에 대비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중국 시장조사기관 이웨이경제연구원은 "보조금 정책 연장으로 전기차 배터리 업계 재편이 더뎌질 수 있다"며 "한국 배터리 기업 등 해외 배터리 업체들이 불리해질 수 있다"고 평가했다.

한국 3사는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2월에 사상 처음으로 점유율 40%를 돌파했다. 하지만 마냥 좋아할 수 없는 상황이다.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ME리서치에 따르면 2월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을 보면 LG화학(29.6%·2위), 삼성SDI(6.5%·5위), SK이노베이션(5.9%·6위)으로 3사 합계 점유율은 42.0%였다. 전년 동기보다 2배 이상 올랐다.

유럽에서는 코로나19 쇼크로 가솔린 차량 이산화가스 배출량 규제 완화 가능성이 제기된다. 환경규제를 강화해야 전기차 수주 확대 수혜를 볼 수 있는 배터리 업계로서는 근심거리다. 유럽자동차제조협회(ACEA)는 최근 유럽자동차부품공업협회(CLEPA), 유럽딜러협회(CECRA) 등과 함께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에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를 완화를 요청하는 서한을 전달했다.

서한은 EU가 올해부터 평균 판매대수 기준 대당 연평균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95g/㎞를 초과하지 않도록 했지만 유럽 자동차업체들이 코로나19 확산으로 이 기준을 맞추는 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국내 배터리 업계는 EU를 중심으로 한 환경 규제로 2020∼2022년 배터리 수요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기대했었다. 배터리 업체들은 현재까지 코로나19 영향으로 수주 계약과 생산에 직접적 차질은 없다고 밝히고 있으나, 글로벌 완성차 생산·판매가 고꾸라지고 있고 경기 침체가 장기화할 조짐이라 연쇄적인 피해가 불가피하다.

업계 관계자는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던 전기차 시장이 코로나19로 주춤하고 있는 상황에서 각종 변수가 이어지고 있어 불확실성이 높아졌다"고 우려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