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캠페인] ‘졸음에는 장사 없어’···방심하면 사고로 직결
상태바
[화물캠페인] ‘졸음에는 장사 없어’···방심하면 사고로 직결
  • 교통신문 webmaster@gyotongn.com
  • 승인 2020.10.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규칙적인 운행 스케줄 유지하는 것이 중요
한 시간 이상 낮잠, 식사 직후 운전 피해야
고령자일수록 수면·운행 시간 관리 철저히

#사례1 : 경기도 의왕에서 수원, 평택으로 주로 새벽에 식품 원료를 배송하는 황진수(66)씨는 최근 하차 일을 돕는다며 함께 운행에 나선 아내로부터 ‘졸지 말라’는 질책을 받았다. 교차로에서 신호대기를 하던 중 황씨는 졸았다고 느끼지 못했으나 아내는 황씨가 ‘눈을 감은 상태에서 고개가 앞으로 꼬꾸라지더라’고 지적을 했다.

처음 그런 지적을 받은 황씨는 ‘아내가 잘못 본 것’ 또는 ‘잠시 눈을 감고 있던 것을 아내가 오인한 것’ 쯤으로 여겼으나 두 차례 같은 지적을 받은 후에야 비로소 ‘내가 졸았구나’라고 졸음 사실 자체를 인정하게 됐다.

#사례2 : 화물자동차 운전 경력 17년째인 정상학(69)씨는 최근 운행을 시작하는 초저녁에 잠이 몰려와 운전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었다. 그런 현상은 대략 2~3년마다 가을에 나타나곤 했지만 이번처럼 거의 열흘간이나 지속된 적이 없어 박씨는 내심 자신에게 질병이 생긴 것은 아닌지 의심하던 끝에 병원을 찾았다. 검진 결과 박씨는 생체리듬을 잃어 수면시간이 고정되지 않은, 소위 수면장애를 앓고 있었다. 의사는 박씨의 수면장애 원인으로 환절기 부적응과 불규칙적인 낮잠, 체력 저하 등을 꼽았다.

박씨는 해마다 여름 끝 무렵이면 체력적으로 무척 힘들어했던 기억이 떠올랐다. 그는 오후 2시 전후 늦은 식사를 마치고 근무에 나서 저녁 식사 시간이 다가오면 서서히 졸음이 오고 있다는 사실을 느끼기 시작했는데, 그렇게 식사를 마친 이후에 약 1시간가량 낮잠을 자곤 했는데 문제는 그 낮잠이었다. 박씨는 처음 낮잠을 대략 30분 정도 잤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낮잠 시간이 길어져 1시간을 넘겨야 머리가 개운해짐을 느꼈다. 그렇게 낮잠을 잔 날은 일과 이후 밤에 잠자리에 들어도 잠이 잘 오지 않아 애를 먹었는데, 그런 영향으로 오후에는 다시 잠이 쏟아졌다. 말하자면 낮과 밤이 바뀐 형국이었다.

그와 같은 증상은 더위가 완전히 물러가고 찬 바람이 부는 10월이 돼서야 해소되곤 했는데, 문제는 그런 사이 졸음운전이 원인이 돼 교통사고가 날 뻔했던 상황이 수차례 반복됐다.

사례1, 2는 직업 운전자로 비교적 고령인 화물차 운전자가 이 계절 쉽게 경험하는 졸음운전 상황에 대한 경험담을 옮긴 것으로 실제 사례와 유사한 상황을 경험한 운전자가 의외로 많다고 한다.

운전 중 자신이 제대로 느끼지 못하는 가운데 스르르 눈꺼풀이 내려오고 고개가 아래로 떨궈지는 현상은 전형적인 졸음운전이다. 이유야 천차만별이지만 운전 중 졸음은 교통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해 극단적인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를 요한다.

‘이 계절에 졸음운전이 얼마나 많을까’라는 의심은 터무니없이 낙관적인 것이다. 졸음운전은 계절이나 운전자의 성별, 연령, 신체조건이나 운전기술 등을 가리지 않고 운전자의 원인행위에 근거해 발생한다. 졸음운전을 야기할 만한 운전자의 원인행위는 다양하나, 기본적으로는 체력 소모, 과도한 음주, 수면 부족 등이 우선 꼽힌다.

한여름 무더위에 야외활동 등으로 유난히 더위에 많이 시달린 사람은 더위가 갈 무렵 시름시름 앓아눕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이 대표적인 체력고갈 현상에 따른 것이라고 한다. 운전자의 경우 더위를 많이 타는 사람, 연령이 높아 기초체력이 약해진 사람 등이 가을철 졸음운전 가능성을 경계해야 한다는 얘기다.

또 잦은 음주로 체력이 고갈된 사람이나 사례2와 같이 수면 상황이 자주 변해 수면장애가 있을 경우도 졸음운전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이밖에도, 고연령대에 접어든 운전자는 환절기에는 체력적으로 부담을 느낄 수 있는데 이런 사람일수록 무리를 하면 운전 중 졸음이 찾아올 가능성이 높다고 봐야 한다.

또 상습적으로 약물을 복용해야 하는 사람, 운전시간대를 임의로 자주 변경하는 사람, 수입을 이유로 운전시간을 자주 늘리는 사람도 언제 졸음운전이 찾아올지 모르므로 최대한 대비한다는 자세로 운전에 임해야 한다.

졸음운전을 예방하는 요령은 화물자동차 운전이라 해서 특별한 방법이 있는 것은 아니나, 화물자동차의 특성을 고려할 때 몇 가지 주의를 기울여야 할 부분이 있다.

첫째, 경력이 오랜 운전자일수록 자신의 졸음운전 회피 능력을 과신하지 말라는 것이다. ‘나는 졸음운전을 절대 하지 않는다. 그런 일이 지금껏 없었다’라든가, ‘나는 졸음이 살짝 오려고 하면 라디오를 켜거나 준비해둔 껌 등을 씹어 졸음을 쫓아낸다’고 하면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졸음운전은 언제, 어떤 상황에서건 외부 여건과 무관하게 운전자의 지각상태를 마비시키기 때문에 ‘절대’라는 전제가 성립할 수 없다. 졸음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는 경험자가 거의 없다. 운전자에게 졸음운전 교통사고의 첫 기록이 곧 마지막 기록인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둘째, 운전업무에 관해 자신의 임의로 자주 평소 일정을 변경하지 말라는 것이다. 직업 운전자에 있어 안전운전의 기본 요소로 운행의 규칙성이 매우 중요하다. 즉 몇 시에 일어나 아침 식사는 몇 시에 하고, 몇 시부터 근무에 들어가 휴식은 언제 몇 차례 하며, 하루 총 근무시간은 어느 정도로 유지하는지, 몇 시에 취침하는지 등 운전자의 일과가 계획에 따라 반복 지속적으로 이뤄지면서 생활 리듬을 일정하게 가져갈수록 안전운전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화물자동차 운전자는 물량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운행해야 하는 일도 있어 규칙성을 무시하고 임의로 출근 시간을 한 두시간 당겼다 늦췄다를 반복하거나, 식사시간도 그날그날 다르게 정한다든지, 특히 영업 수입이 부진할 경우 근무 종료 시점을 현저히 늦춰 평소보다 더 많이 운전대를 잡는 일은 안전운전의 밸런스를 무너뜨리고 운전 피로를 가중시켜 급기야 운전 중 졸음을 초래하게 된다는 것이다.

셋째, 수면 관리에 특별히 신중히 성의를 다해야 한다는 점이다. 운전 중 졸음은 결국 수면 문제의 하나다. 평상 시 수면 관리를 잘하는 사람은 결코 운전 중 수면에 따른 졸음운전으로 교통사고에 이르는 일이 없다고 봐야 한다.

그렇다면 수면 관리를 어떻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까. 여기서도 규칙성은 매우 중요하다. 하루 수면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 또한 잠자리에 드는 시간과 기상하는 시간을 일정하게 하는 것은 기본으로, 낮잠은 아무리 길어도 한 시간 이상은 곤란하다. 또 잠은, 자신이 가장 편안하게 여기는 환경에서 숙면을 취하도록 하되 자주 잠자리를 바꾸거나 잠자리 환경을 바꾸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그밖에, 숙면을 방해하는 일상적 행위는 자제하고 지나친 신체활동이나 정신적 부담감은 제때 해소해 수면 방해 요소로 작용하지 않도록 한다. ‘잠이 잘 오지 않는다’며 ‘음주 후 수면 습관’을 들이거나, 특히 수면제 등 약물에 의지해서는 더욱 좋지 않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가능한 자제하되 불가피할 경우 의사와 상의해 복용 정도와 요령 등에 관한 조언을 받도록 하는 것이 좋겠다.

마지막으로, 일교차가 매우 큰 이 계절 야간 운전에 나설 경우 운전자가 추위를 느낄 수 있고, 춥다는 이유로 옷을 끼어 입거나, 특히 차창 문을 닫은 채 수시간 계속 운전을 하게 되면 졸음운전의 위험이 높아진다. 춥지 않을 정도로 옷을 입되 자주 차창 문을 개방해 환기하고, 최대 두 시간 간격 이내로 정차해 바깥 공기를 쐬며 잠이 올 만한 상황을 만들지 말아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