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인증대체부품 활성화 핵심은 ‘부정적 프레임’ 전환
상태바
자동차 인증대체부품 활성화 핵심은 ‘부정적 프레임’ 전환
  • 김정규 기자 kjk74@gyotongn.com
  • 승인 2020.11.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같은 성능에 싸지만 ‘몰라서’ ‘중고’ 같아서 안써
한국소비자원, 순정價 60% 수준에도 홍보 ‘태부족’
수리현장 세제지원 등 유인책 필요…“용어도 문제”

 

[교통신문 김정규 기자] 자동차 대체부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 수리 시장에서 정부 인증 대체부품은 순정(OEM)부품과 품질이 비슷하고 가격은 약 60% 저렴하지만 정비현장의 홍보 부족과 부정적 이미지로 소비자로부터 외면을 받고 있는 것이다.

특히 자차보험 수리 시 인증대체부품을 사용하면 순정부품가의 일부분(약 25%)을 자동으로 환급받을 수 있지만 이를 아는 소비자는 거의 없다. 인증대체부품이란 자동차 제조사에서 출고한 자동차 부품과 성능·품질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을 소비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인증하는 제도로 2015년부터 시행됐다.

한국소비자원은 아우디 A6와 BMW 3시리즈, 포드 익스플로러, 렉서스 ES,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등 수입차 전방 범퍼 5종을 대상으로 OEM 부품과 인증대체부품(대체부품)의 성능·품질을 비교 시험한 결과를 지난 15일 공개한 결과, 대체부품에 대한 소비자들이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어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시험 결과 모든 대체부품이 OEM 부품과 형상 일치 여부와 두께 차이 등에서 관련 기준을 충족했다. 외부 충격 등의 하중에서 견디는 강도도 모든 대체부품이 관련 기준을 충족해 OEM 부품과 동등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능과 품질 인증 사항 표시 역시 모든 대체부품이 관련 기준에 적합했다. 이번 시험대상인 수입차 전방 범퍼 구입가는 순정부품의 59% 수준이었다.

대체부품의 품질이나 성능이 순정부품과 동등하면서도 가격은 더 낮은데도 소비자들은 대체부품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부정적 이미지가 강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비자원이 지난 7월 자동차를 운행하고 수리 경험이 있는 소비자 1천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93.5%가 순정부품을 주로 사용한다고 답했다. 순정부품을 사용하는 이유로는 ‘성능·품질 신뢰’가 46.8%로 가장 많았고 이어 ‘차량 안전 염려’(22.2%), ‘향후 사후서비스(A/S) 용이’(10.2%) 등의 순이었다. 대체부품을 아느냐는 질문에는 50.3%가 ‘모른다’고 답했다. ‘들어본 적이 있다’는 응답은 39.5%였고 ‘알고 있다’는 응답은 10.2%에 그쳤다.

또 자동차관리법에 따라 정비업자는 수리 때 대체부품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소비자에게 고지해야 하지만 71.6%는 이런 내용을 알지 못했다고 답했다. 대체부품에 대한 이미지에 대해선 ‘중고·재생부품과 유사’(35.7%), ‘저가 부품’(9.9%), ‘모조품’(9.2%), ‘안전성 우려’(5.5%), ‘저품질 부품 및 기타’(4.0%) 등 부정적 응답이 64.3%를 차지했다. 그러나 소비자에게 대체부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한 뒤 앞으로 대체부품을 사용할 의향이 있는지를 묻자 49.6%가 ‘사용하겠다’고 답했다.

한편 정부는 보험사고 차량 수리 시 전산견적시스템(AOS)에서 성능은 같으면서도 가격은 절반인 인증대체부품의 가격 정보 등을 현장에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제도 지원에 나서고 있지만 6년이 지난 제도는 ‘제자리걸음’에 빠져 있다. 이러자 일각에선 정비현장에서 홍보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는 세제지원 등 유인책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동시에 소비자들의 부정적 인식 프레임을 변화시킬 용어정리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를 위해 소비자원은 대체부품 인증기관인 한국자동차부품협회에 대체부품의 명칭을 '인증대체부품'이나 '인증부품' 등으로 바꾸는 등 소비자 접근성을 높일 방안을 마련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부품협회는 '비순정품' 같은 대체부품에 대한 부정적 편견을 만드는 표현을 개선하고 자동차 정비업자들을 대상으로 대체부품 사용 활성화를 위한 홍보·계도 활동을 강화하기로 했다. 대체부품의 종류와 인증정보, 가격 등을 종합해서 확인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 구축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