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관리업계에 드리운 분리 불안
상태바
자동차관리업계에 드리운 분리 불안
  • 김정규 기자 kjk74@gyotongn.com
  • 승인 2021.01.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교통신문 김정규 기자] 한 유령이 자동차업계를 떠돌고 있다. 분열의 유령이. 자동차관리업계가 시끄럽다. 또 시끄러웠고 시끄러워질 것으로 보인다.

오랜 시간 자동차업계의 발전과 궤적을 같이 해 온 자동차관리업계의 사업자단체는 현재 해체재활용업을 제외하고는 복수연합회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중고차는 오랜 시간 그래 왔고, 정비는 그리 오래 되지 않았다. 외부에선 이를 분열의 결과물로 본다. 틀린 말은 아니다. 정치적 이해관계에 다른 갈라섬이 있었고, 정책 방향에 대한 온도차로 각자의 길을 가는 이유가 됐다.

문제는 분리된 사업자단체를 향한 시선이 업계의 현안을 위한 합리적 고민을 잠식하는 색안경이 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모든 이슈의 성패에 대한 책임이나 정책 추진에 대한 우려도 분열의 책임으로 귀결되면서 업계 성장을 저해하는 정서적 패배감이 알게 모르게 시장에 퍼지는 양상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행태는 최근에도 감지된다. 일부 언론에선 중고차 생계형 적합업종 지정 논란을 두고 마치 업계가 ‘한 목소리’를 내는 것만이 해결책인양 무언의 압박을 가하기도 하고, 한 사업자단체의 선거 결과를 두고도 ‘한 목소리’를 내도 모자랄 판에 내부 싸움에 휩싸였다는 식의 후렴구가 무의식적으로 따라 붙는다. 일종의 강박적 시선이다.

정비업계는 어떨까. 2019년 말에서야 국토부 별도 인가를 통해 복수 연합회 체제가 된 업계는 한동안 그 지위의 정당성을 두고 불필요한 갈등에 시간을 허비했다. 소관부처의 인·허가 기준에 의문을 제기하면서까지 이어온 감정적 대립은 현재 진행형이다. 존재를 인정하지 않아서다. 이런 관측은 정비요금 공표제 폐지 이후 처음으로 구성되면서 그 의미를 새롭게 부여받은 보험정비협의회 내 정비업계 지분 확보에 대한 불만의 원인으로 회자되기도 했다. 마땅히 챙겨야 할 자리를 놓친데 따른 책임 공방이 존재하지도 않는 ‘분열’이라는 허상에게 돌아간 것이다. 이는 일종의 책임전가다. 분열이 ‘한 목소리’를 내지 못해 지분을 잃은데 대한 책임 회피의 이유가 된 셈이다.

이쯤 되면 분열은 자동차관리업계의 ‘만고의 역적’ 역할을 하는 단어가 된다. 그렇다면 ‘통합’은, 그 자체만으로 전능한 힘을 발휘할까. 분열은 의미로서는 죄가 없다. 그것은 형태일 뿐이지 본질이 아니다. 합리적 소통과 협의는 통합이라는 형태에서만 도출되는 게 아니다.

자동차관리업계는 지금 분열·분리 강박에 시달리고 있다. 해법은 분열이라는 유령의 그림자로부터 벗어나는데 있다. 의식이 존재를 규정해야 협의의 출구가 보인다. 존재, 즉 형태가 의식을 규정하게 해서는 안 된다. 오래된 사회과학적 개념이 생각나는 이유는 미래차 중심으로 자동차산업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는데도 자동차관리업계에서 이를 준비하고 있는지에 대한 다양한 고민은 어디에서도 보이지 않아서다. 동시에 사회의 다양성이 민주주의 가치를 증명하듯 업계의 다른 의견이 분열의 다른 이름으로 가치를 증명할 수 있다는 것도 잊어서는 안 되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