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강조하는 ‘올바른 재난 대응 체계’
상태바
다시 강조하는 ‘올바른 재난 대응 체계’
  • 교통신문 webmaster@gyotongn.com
  • 승인 2021.03.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무리 기습 폭설이라고는 하지만 이건 너무 한 것”, “폭설 예보가 있었다면 보다 적극적으로 교통을 제어하고 이른 귀경을 촉구했어야지···.”

지난 3·1절 연휴에 강원도 해안으로 여행을 갔다가 폭설에 길이 막혀 오도 가도 못하고 차 안에서 5~6시간을 갇혔던 사람들이 내뱉은 말들이다.

눈은 양양, 속초 등에 50cm 안팍, 산간지역에는 최고 100cm나 내려 쌓여 교통을 마비시켰던 것이다. 곳곳에 교통이 통제돼 수도권으로 향하고자 했던 차량들이 줄줄이 다시 강원도로 되돌아가거나 도로 인근의 호텔, 모텔, 펜션으로 향했고, 숙소를 정하지 못한 사람들은 노변의 식당을 찾아 하룻밤 묵기를 청하는 진풍경도 벌어졌다.

그나마 천만다행으로 크고 작은 교통사고가 계속 발생했음에도 사망자가 1명에 그쳤다는 점, 도로 복구가 예상보다 빨랐다는 점 등이 꼽혔다. 하지만, 복구는 아무리 잘해도 사후약방문이라는 평가고, ‘왜 미리 폭설 피해를 예고하지 않았느냐, 왜 적극적으로 폭설과 이에 따른 도로 마비를 알리지 않았느냐’는 질타가 이어졌다.

그렇다. 자연재해는 어쩔 수 없는 것이라 하겠지만, 이를 예상할 수 있었다면 그로 인한 불편과 피해 가능성을 예보할 수 있지 않았느냐는 점에서 이번 3·1절 강원도 폭설 피해에는 아쉬움이 적지 않다.

폭설이 예보됐다면, 응당 도로 이용 국민들에게 이것으로 초래될 비상상황과 대응 요령을 미리 신속히 알려야 하나 이것부터 효과적이지 못했다. 폭설 예보 타이밍이 늦지 않았느냐는 지적도 있지만, 지역 전체 도로가 마비될 정도의 폭설이라면 TV나 라디오의 정규 방송을 중단하고라도 반복해서 ‘미리’, 그리고 ‘신속히’ 귀경길에 오르도록 안내하거나 먼저 차단될 도로 이용을 피하고 어느 도로를 이용하라는 등 구체적인 행동요령을 알렸어야 했다. 그저 기상예보만으로는 전혀 피해를 예상할 수도, 회피할 수도 없는 것이다.

잦은 긴급재난 방송을 한다고 해서 대응이 나아지는 것만은 아니라는 견해도 있다. 재난방송이 ‘양치기 소년’이 될 수 있기 때문이나, 이는 정확하고 과학적인 기상예보를 전제로 한다면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적설량(또는 강우량) 등을 기준으로 안내 수위나 피난 수위를 정하는 등 매뉴얼도 새로 살펴봐야 할 것이다.

국민소득 3만불 국가에 걸맞게 재난에 대응하는 국가 시스템을 만들어야 하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요구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