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용 반도체 자립화 추진한다…R&D에 2천억 투입
상태바
차량용 반도체 자립화 추진한다…R&D에 2천억 투입
  • 김정규 기자 kjk74@gyotongn.com
  • 승인 2021.03.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 단기 수급 대응·중장기 육성 방안 발표
미래차 대비 ‘차세대 전력 반도체’ 역량 강화
부품진입장벽 완화, 신속통관 등 전방위 지원
제공=연합뉴스
제공=연합뉴스

[교통신문 김정규 기자] 정부가 전 세계적으로 수급 차질을 빚고 있는 차량용 반도체 산업을 키우기 위해 내년까지 기술개발(R&D)에 20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단기적으로는 수급 불안에 대응하면서 중장기적으로는 차세대 먹거리 산업으로 키우기 위해서다.

정부는 지난 10일 서울청사에서 ‘제6차 혁신성장 빅3 추진회의’를 열고 범부처 합동으로 이런 내용을 담은 ‘차량용 반도체 단기 수급 대응 및 산업역량 강화 전략’을 발표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차량용 반도체가 자동차 산업의 핵심 부품이고, 미래차 전환으로 수요도 급증하고 있어 단기적 수급 불안 해소와 함께 중장기 공급망 개선 및 시장 선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최근 글로벌 완성차업계는 차량용 반도체 수급 불안으로 완성차 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다. 예상보다 빠른 자동차 수요 회복과 반도체 전반의 초과 수요 등으로 차량용 반도체 공급 물량이 달려서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전 세계 차량용 반도체 시장 규모는 380억 달러로, NXP, 인피니온 등 몇몇 글로벌 업체가 선도하고 있다. 국내 자동차 업계는 차량용 반도체의 98%를 해외 의존하는 실정이다.

정부는 차량용 반도체 수급 차질이 최소 3분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중장기적으로 국내 차량용 반도체 역량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미래차 핵심반도체 R&D에 2022년까지 2047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차량용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와 엣지 컴퓨팅 칩, 레벨4 자율차용 부품 등으로 지원을 확대한다.

차량용 반도체의 빠른 사업화를 위해 기존의 가전용·산업용·모바일용 반도체를 차량용으로 전환·개조할 수 있게 지원 사업도 신설한다. 현재 국내에는 차량용 반도체(MCU) 생산공정 자체가 없다. 차량용 반도체 공정 투자에 수조원이 들지만, 수익성은 모바일 반도체 등에 비해 부족한데다, 높은 수준의 품질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정부는 미래차의 전력 소비 확대에 대응해 ‘차세대 전력 반도체’ 기술 역량도 강화하기로 했다. 실리콘 대비 전력 효율과 내구성이 뛰어난 실리콘카바이드, 질화갈륨 등 신소재 기반 반도체의 초기 시장 선점을 위해 R&D를 추진한다.

이와 함께 팹리스, 파운드리의 차량용 반도체 진입장벽을 완화하고 완성차 적용을 지원하기 위해 기능안전 평가·신뢰성 인증 인프라도 구축한다. 지난 4일 발족한 ‘미래차·반도체 연대 협력 협의체’를 통해 국내 자동차·반도체 업체 간 연대·협력도 활발하게 진행되도록 뒷받침할 예정이다.

정부는 단기적인 수급 상황 개선을 위해선 민관 협력 채널을 활용해 주요 국가, 해외 반도체 기업, 협회 등과 협의를 진행 중이다. 다수의 차량용 반도체를 위탁생산하는 대만 측과도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산업부는 전했다.

차량용 반도체 수입 절차로 자동차 생산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차량용 반도체 부품에 대한 신속 통관을 지원하고, 필요할 경우 원·부자재 신속 통관, 항공운송 운임 특례 등의 긴급지원 제도도 적용하기로 했다. 차량용 반도체 조달을 위해 출입국하는 기업인에 대해선 자가격리 면제 신속심사를 추진하고, 코로나19 예방접종도 추진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