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환율·금리 '삼중고'···대외변수, 민생 압박한다
상태바
유가·환율·금리 '삼중고'···대외변수, 민생 압박한다
  • 교통신문 webmaster@gyotongn.com
  • 승인 2022.02.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크라이나 사태 유가에 직격탄···휘발유 1ℓ 1800원 임박
미 금리 인상 임박에 대출금리도 급등···환율도 1200원대
경제주체 가리지 않는 전방위 타격에 정부 대응에는 한계

연초부터 유가와 환율, 금리 등 경제를 움직이는 세 가지 핵심 가격변수에서 모두 비상등이 켜지고 있다.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와 우크라이나 사태 등 우리나라가 통제할 수 없는 대외 요인이 만들어낸 현상이다.
유가·환율은 시차를 두고 국내 물가를 끌어올려 민생 전반을 악화시킨다. 급격한 금리 인상은 다중채무자 등 취약 채무자부터 무너뜨리면서 시스템 전체를 훼손한다.
하지만 시장경제를 채택한 나라에서 정부라도 이런 가격변수에 개입할 수단은 많지 않아 우리나라도 고민이 큰 상황이다.
국제금융시장에 따르면 국내로 들여오는 원유 기준인 두바이유 현물 가격(싱가포르 거래소 기준)은 4일 기준 배럴당 90.22달러를 기록했다.
지난 12월 2일 기록한 단기 저점인 69.13달러와 비교하면 두 달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21.09달러나 오른 것이다. 인상률이 무려 30.5%에 달한다.
국제유가가 단기간에 이처럼 큰 폭으로 오른 것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가능성과 아랍에미리트(UAE) 석유 시설 드론 공격 등 지정학적 변수가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모두 우리나라의 손이 닿지 않는 영역이다. 하지만 그 결과로 나타나는 국제유가 상승은 우리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원유 수입을 100% 대외에 의존하는 한국 입장에선 유가 급등이 고스란히 휘발유와 경유 등 국내 물가 상승으로 이어진다.
국제유가는 2∼3주 시차를 두고 국내에 반영된다. 1월 상순께 두바이유 가격이 배럴당 80달러선에 진입했음을 고려하면 국내 유류 가격은 지금보다 10% 안팎 인상될 요인이 있다.
오피넷에 따르면 이달 첫째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판매 가격은 리터(ℓ)당 1667.6원이었다. 주간 단위로 10.1원(1월 셋째주)과 18.9원(1월 넷째주), 15.2원(2월 첫째주)씩 3주간 오른 결과다.
최근 국제유가 상승분이 반영될 경우 ℓ당 1800원을 넘을 가능성이 상당하다.
환율 역시 현 상황에서 한국경제에 불리한 쪽으로 작용하는 부분이 크다.
원/달러 환율은 4일 기준 1197.0원으로 잠시 숨을 고르고 있으나 지난달 27일 장중 1207.40원까지 올랐다. 지난해 말(12월9일) 장중 저점인 1172.8원과 비교하면 34.6원의 격차를 의미한다. 절하율이 3%에 육박한다.
원/달러 환율의 급등은 가뜩이나 원유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이 오르는 상황에서 수입물가의 상승을 의미한다. 원화 가치가 하락하다 보니 외국에서 물건을 사 올 때 더 비싼 가격을 지불해야 해 국내 물가를 끌어올리는 요인이 된다.
두바이유 가격이 막 80달러에 진입했지만 실질적으로는 100달러를 이미 넘어섰다는 분석이 나오는 것도 이런 맥락이다.
1월에는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마저 10년 만에 3%대로 올라선 상황이다.
기존에는 유가나 농축수산물 등 공급 측면의 엔진이 가동되면서 물가가 올랐지만, 앞으로는 개인 서비스 등 수요 측면까지 두 개의 엔진이 함께 돌아가는 구도가 된다.
이런 측면에서 정부나 통계청 모두 이번 달부터 물가 상승률이 더 확대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현재 물가 상승률이 3% 후반임을 고려하면 언제든지 4%대로 진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원/달러 환율 상승의 배경은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다.
물가 상승세가 일시적이라고 봤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자신의 판단이 틀렸다는 점을 인정한 이후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끌어올릴 움직임을 보이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미국이 연내 5차례 금리를 올릴 수 있다는 가능성까지 흘러나오니 글로벌 달러화는 강세를 보일 수밖에 없다.
이 역시 한국이 통제 불가능한 변수지만 여기서 파생되는 시장금리 인상은 한국의 경제주체들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국의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지난해 12월 2일 연 1.720%에서 두 달여만인 지난 4일에 2.194%까지 뛰어올랐다. 인상 폭이 0.474%포인트나 된다.
시장금리 상승은 은행의 조달 비용을 늘려 각종 대출상품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 금리를 끌어올린다. 시차를 두고 변동금리부 대출금리를 끌어올리는 구조다.
일례로 주택담보대출로 5억원을 받은 사람이라면 연간 이자 부담이 237만원 늘어난다. 여러 금융사에서 돈을 끌어다 썼거나, 상대적으로 높은 대출금리를 적용하는 2금융권에서 대출받은 취약계층에게는 부담이 더 커진다.
미국이 실제 금리 인상을 본격화할 경우 시장금리는 더 오르게 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