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설공단

서울시설공단은 청담대교 뚝섬유원지 구간과 북부간선고가교 등 3개 교량에 비둘기가 서식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지시설 4곳을 추가 설치했다고 밝혔다.
교량 하부는 비바람을 피할 수 있고, 지상에서 6~12m의 높이여서 비둘기 서식에 적합한 환경이다.
때문에 비둘기가 서식하는 주변 산책로나 운동시설 이용 시민은 깃털과 배설물 등으로 불편을 느껴야 했다.
특히 강한 산성의 배설물은 교량의 철근 등 강재 부식은 물론, 콘크리트에 화학적 손상을 줘 교량을 훼손하고 내구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공단은 지난해 비둘기 서식이 가장 많았던 내부순환로 북부고가교와 강변북로 두모교 등 3개 교량에 비둘기 방지시설을 설치했다.
이번에 설치한 곳은 청담대교 뚝섬유원지 구간, 북부고가교의 정릉천 산책로 2곳 및 정릉성원아파트 공원, 북부간선고가교의 묵동천 산책로 등 4곳이다.
비둘기 방지시설은 ‘버드 코일’과 ‘버드 슬라이드’로 공단과 야생동물 피해 예방시설 전문기업인 한국농림시스템이 협업 개발해 지난해부터 활용 중인 장치다.
기본적으로 비둘기가 내려앉을 수 없는 구조다. 경제성과 유지관리가 쉬운 장점이 있다.
전기성 공단 이사장 직무대행은 “비둘기 방지시설은 시민 불편을 줄일 수 있는 좋은 사례”라며 “공단의 기본 업무인 시설물 유지관리뿐 아니라 시민 편의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시도를 꾸준히 펼쳐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교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