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배달 유니온' 출범 2년…매출 3.5배↑
상태바
'제로배달 유니온' 출범 2년…매출 3.5배↑
  • 교통신문 webmaster@gyotongn.com
  • 승인 2022.08.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 주도 공공배달 서비스…가맹점 1.8배 증가
점유율 1.6%...자치구 매칭·e상품권 등 지원 늘려

서울시가 주도하는 공공배달 서비스 '제로배달 유니온'이 출범 2년을 맞았다.
제로배달 유니온은 첫해에 주문 건수가 하루 평균 한 자릿수에 그치고, 서비스 이용이 불편하다는 불만이 속출하는 등 시행착오를 겪었다.
그러나 참여 업체를 선별하는 등 내부 개편을 거쳐 출범 2년째에는 시장 점유율을 1% 후반대까지 끌어올리는 등 작지만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
시는 최근 고물가로 수수료 부담이 커진 배달앱 시장에서 저렴한 수수료를 앞세운 제로배달 유니온의 영향력을 키우기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준비 중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제로배달 유니온은 배달 플랫폼 시장의 독과점으로 인한 소상공인(가맹점)의 과도한 수수료 부담을 줄인다는 목표로 2020년 9월 서울시와 배달앱 업체가 협력해 만들었다.
시가 서울사랑상품권 결제 수단 사용, 프로모션 및 홍보 마케팅을 지원하고 배달앱은 서비스 개발·운영, 가맹점 확보·관리를 맡았다.
서울시의 인프라를 활용해 초기 투자 비용을 줄였고, 배달 수수료는 최고 2%로 민간 배달앱보다 낮췄다.
참여하는 배달앱은 처음에 16개사에서 출발해 20개사까지 확대됐다가 올해 7월 기준 7개사로 대폭 줄었다.
7개사는 음식배달앱 4개사(위메프오·땡겨요·먹깨비·소문난샵)와 전통시장·마트앱 3개사(놀러와요시장·맘마먹자·로마켓)다. 이들 업체의 중개 수수료는 0.9∼2.0%로, 통상 6%가 넘는 대형 플랫폼보다 낮다.
2년 새 참여업체가 감소한 것은 시에서 서비스 개선을 위해 정비 작업을 했기 때문이다.
시는 서비스할 여력이 부족하고 참여 의지가 약하다고 판단되는 업체들과의 협력 관계를 정리했다. 참여 조건도 강화해 가맹점을 최소 2천개소 이상 확보하고 배달 시스템을 마련해 사업 운영에 무리가 없어야 한다는 기준을 뒀다. 기존에 시스템이나 가맹점 수와 관계없이 참여할 수 있던 것에 비해 문턱을 높였다.
그 결과 가맹점 수는 2020년 9월 출시 당시 3만개소에서 올해 상반기 기준 5만5천개소로 83% 증가했다. 매출액 역시 2020년 연간 57억9800만원에서 올해 상반기 기준 201억8700만원으로 3.5배까지 늘었다.
MAU(월간 활성 이용자수) 기준 시장 점유율은 2020년 10월 0.7%에서 올해 6월 기준 1.68%로 높아졌다.
시는 제로배달 유니온 사업 확장을 위해 각종 지원책을 준비하고 있다.
우선 자치구와 협력해 '지역 밀착형 서비스' 구축에 나선다. 참여사와 자치구를 연결해 지역에서 인지도를 높인다는 전략이다.
현재 광진구는 땡겨요, 도봉구는 위메프오와 함께 협약을 맺고 사업을 추진 중이다. 해당 자치구는 기존 지역사랑상품권 외에 15% 할인된 금액에 배달 전용 지역상품권을 발행하고 있다.
시는 9월 말에는 제로배달 유니온 출범 2주년을 맞아 배달앱 내 결제금액의 일부를 e서울사랑상품권으로 돌려주는 페이백 프로모션을 시작한다. 1만원 이상 결제 시 2천원, 2만원 이상 결제 시 4천원을 인당 최대 2만원 한도 내에서 돌려하는 방식을 검토 중이다. 행사 기간에 하루 100명을 추첨해 e서울사랑상품권 1만원을 지급하는 이벤트도 한다.
7% 할인이 가능한 배달·온라인 전용 e서울사랑상품권 50억원어치를 추가로 발행하는 안도 검토하고 있다. 시는 지난달 21일 해당 상품권 100억원어치를 발행했는데, 99억원이 판매 완료되는 등 호응이 높았다.
시 안팎에서는 고물가 여파로 합리적 소비 심리가 커진 이때가 공공배달 서비스를 키울 수 있는 적기라는 분석이 나온다.
서울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음식 배달 서비스를 이용해본 경험이 있으나 올해 1분기에는 이용하지 않은 시민의 절반 이상(52.3%)은 배달 서비스를 쓰지 않은 이유로 '배달음식·배달료 가격 상승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꼽았다.
또한 응답자 10명 중 3명(31.1%)은 최근 배달료 인상 이후 음식 배달 서비스 이용 빈도가 줄었다고 답했다.
적정 배달료로 '2천원 이하'를 꼽은 비중이 절반 이상(57.3%)이었으며, 지불 가능한 최고 배달료 수준은 평균 3608원으로 조사됐다.
강원연구원은 최근 발간한 공공배달 관련 보고서에서 "소비자·입점업체 유인전략을 다변화하고, 지속적 예산 투입 없이도 자립 가능한 자체 동력을 마련해야 한다"며 ▲민간 배달앱이 활용가능한 각종 할인 정책 적극 도입 ▲추가 요금 지불 시 빠르게 배달해 주는 프리미엄 전략 도입 ▲협동조합 설립을 통한 혁신 사업모델 창출 등을 제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