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중소 렌터카업계 가동률 저하로 경영난 심화
상태바
부산 중소 렌터카업계 가동률 저하로 경영난 심화
  • 윤영근 기자 ygyoon@gyotongn.com
  • 승인 2023.05.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렌터카 가동률 과거 60% 수준 머물러
메이저급 업체 공격적 마케팅도 한 몫
중소업체 생존 위한 맞춤형 대책 시급

【부산】 코로나19 팬데믹을 힘겹게 버텨 냈던 부산지역 중소 렌터카업계가 엔데믹을 맞아서도 경영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고물가·고금리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 둔화로 소비심리가 극도로 위축돼 렌터카 가동률이 코로나19 이전의 수준으로 회복되지 않고 있는 점이 요인으로 꼽힌다.
부산렌터카업계는 중소 렌터카업체들의 차량 가동률이 엔데믹을 맞아서도 과거의 60% 안팎 수준에 머물러 경영난이 심화되고 있다고 지난 18일 밝혔다.
렌터카 보유대수 50~200대 규모의 중소 렌터카업체들의 경영 안정에 버팀목 역할을 해오던 ‘셀프 시장’이 느리게 회복되면서 차량 가동률이 정상화되지 않고 있는 점이 불황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한 이유로 나타났다.
승용차를 과다 보유한 업체들은 이들 차량의 가동률이 바닥 수준으로 떨어져 상대적으로 더욱 심각한 경영 위기를 겪고 있다.
장기 대여 위주 마케팅으로 지역에서는 비교적 경쟁력을 꾸준히 유지해 오던 일부 업체들도 대기업 계열사 렌터카업체들의 공격적 마케팅에다 기존 장기계약을 유지하던 고객마저 경기 둔화를 이유로 계약을 갱신하지 않거나 신규 장기 수요가 거의 자취를 감추면서 남아도는 차량들로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대물사고가 줄어들면서 ‘보험 대차 시장’도 크게 위축되고 있다.
렌터카업계는 범정부 차원의 ‘교통사고 줄이기 운동’에다 운전자의 안전의식 고취로 대물사고가 줄어들면서 사고차량을 수리할 때 대여하는 보험 대차 수요도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이 같은 경영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도 전국적 규모화를 추구하는 대기업 계열사 렌터카업체들로 인해 렌터카운송사업이 호황·성장 산업으로 인식돼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지원책이 전무하다는 점이다.
3년 정도 진행된 코로나19 팬데믹 때 중소 렌터카업계가 요구하는 수준의 지원책이 이뤄지지 않는 이유다.
대기업 계열사 등 메이저급 업체들의 경우 튼튼한 자본력과 조직력, 홍보력을 앞세운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양질의 대여 수요를 사실상 싹쓸이 할 정도로 지역 ‘대여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이들 업체 중 일부는 중소 렌터카업체들의 생존권이 달린 틈새시장인 ‘골목 상권’까지 침투해 중소 렌터카업체들의 존립을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중소 렌터카업체들은 보유대수를 최소화하면서 인력도 줄이는 초긴축 경영으로 살아남기에 급급하고 있으나, 이마저도 한계 상황을 맞고 있다.
일부 업체는 차량도 신차를 구입하지 못하고 대기업에서 장기 대여로 일정 기간 운행한 뒤 중고차로 판매하는 차량을 구입해 운영할 정도로 자금난에 허덕이고 있다.
이와 관련, 한 렌터카업체 대표는 “본격적인 행락철과 엔데믹을 맞아서도 렌터카 가동률이 과거 수준으로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국적 규모화를 추구하는 메이저급 업체들의 ‘공세’로 지역 중소 렌터카업체들의 경영적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이들 업체들이 최소한의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험 대차수가 현실화와 저리의 운영자금 지원 등 맞춤형 지원책이 요구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