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특집] RFID 기술력 없으면 생존 불가
상태바
[신년특집] RFID 기술력 없으면 생존 불가
  • 이재인 기자 koderi@naver.com
  • 승인 2012.01.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물류부터 생활형 제품까지 적용 위해 상용화 中
소비자 신뢰성 및 생산자 생산력 UP! '일석이조'
"국제표준화로 해외통용 가능한 수준 이끌어내야"

정부의 녹색성장, 녹색물류 정책의 일환으로 시간적ㆍ경제적 손실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온실가스 배출량을 절감케 하는 신(新) 기술이 연구 개발, 주요 기술 중 하나인 RFID/USN(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Ubiquitous Sensor Network)이 산업전반에 점진적으로 상용화되고 있다.

이 기술은 물류산업은 물론 의약, 생활용품 등 제조 생산업체까지 통용되고 있으며, 소비자의 실생활과 밀접한 백화점, 대형마트 등에도 확대ㆍ적용되고 있다.

최근 유럽ㆍ미국과 FTA가 체결돼 시장의 구도가 자유경쟁체제로 전격 돌입됐고, 시장은 국내에서 국경을 넘어 해외로, 미국과 유럽 등 주요시장에서 남아메리카와 아프리카 등 지구촌 전체로 규모가 확대돼 시장의 글로벌화가 가속화 되고 있다.

이에 물류업계는 물론 산업계 전문가들은 RFID/USN 기술력 없이는 시장에서 생존여부를 장담할 수 없다고 강조, 이 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기술력 향상에 주력해야한다고 피력하고 있다.

RFID는 생산에서 보관, 유통, 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의 정보를 초소형칩(IC칩)에 내장시켜 이를 무선주파수로 추적할 수 있도록 한 기술로서 ‘전자태그’ 혹은 ‘스마트 태그’등으로 불린다.

이 기술은 RFID 태그와 리더기 등의 하드웨어와 전자상품코드 EPC(Electronic Product Code)데이터를 인식, 이를 수집 관리해 판독한 정보를 저장하는 인터페이스를 비롯해 RFID인프라와 물류 프로세스 현황을 통합 모니터링하는 지능형 SCM(Supply Chain Management) 시스템과 연계된 구조로 이뤄져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글로벌 공급망 현장의 원격 무인 거점에 구축된 RFID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공급망 관리 시스템인 다자간 물류 프로세스와 연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RFID 인프라 설비 ▲물류 프로세스의 장애ㆍ이상상태에 의해 발생한 정보오류를 조기에 검출하고 보정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해외시장에서 신뢰성 있는 글로벌 물류정보 동기화 시스템과 이를 상용화하는 기술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녹색물류 초석(礎石), RFID 기술
글로벌 물류산업 시장에서 RFID 기술을 배제하고 미래 동향의 맥을 짚기란 불가능하다는 소리가 나올 만큼 그 역할과 비중이 커지고 있다.

국책사업인 녹색성장의 일환으로 물류산업분야에 획기적인 기술로 등장한 RFID는 물류분야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동시에 다양한 녹색물류정책에 대응 가능케 하는 기술로서 물류와 더불어 제조, 유통 전 과정의 패러다임을 변화ㆍ전환케 하는 밑거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현 정부는 2020년 까지 물류부분 온실가스감축 잠재량을 15.7백만t을 목표하고 있으나, 다단계 외주 계약구조를 비롯해 복잡한 설계 옵션과 역물류 현상이 혼재된 화물운송시장의 특성상 난관에 봉착돼 있다.

이를 해소키 위한 대안으로 물류 네트워크의 전면적인 개편을 계획한 정부는 RFID를 기반으로한 ‘탄소 관리 솔루션 CMS(Carbon Management Solution)’의 컨설팅 및 소프트웨어에 대해 연구개발 중 이다.

아울러 이 기술을 도입해 제품별 레벨의 온실가스 발생량을 수집ㆍ분석하고 산정된 탄소배출량에 대해서는 화주와 물류업체에게 부과하는 방식으로 녹색물류를 도약을 계획하고 있다.

개발중인 LCMS (Logistics Carbon Management Solution) 모듈별 주요기능으로는 RFID를 통해 화물운송과 보관분야에서 발생하는 CO2를 산정하는 모니터링과, 이 데이터를 시뮬레이션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 시간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운송루트를 도출, 이를 제공하는 최적화 단계로 구성돼 있다.

또 실행한 물류 프로세스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평가, 이를 산출해 CO2 거래소에서 배출권 기준치 이상에 대해 부담금을 징수하고, 거래정보를 통합 데이터 플랫폼에 저장해 온실가스 배출 비용을 국가별, 거점별, 고객별로 수집 가능하다.

RFID를 기반으로 한 물류시스템은 다양한 인증 체계에 맞춰 데이터를 취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때문에 솔루션을 확보할 수 있어 급변하는 산업시장에서 국내 물류산업이 나아갈 방향성과 글로벌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고취시키는 매개물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 유럽 등 해외산업 시장에서는 탄소 배출량에 대한 강력한 규제를 언급, 이를 법제화해 의무의 강제성을 부각시키고 있으며 초과분에 대해서는 패널티를 부여하고 있다.

아울러 기준에 부적합한 물류ㆍ제조ㆍ생산업체에 대해서는 시장 진입자체가 불가한 방향으로 논의되고 있어 RFID 기술력 없이는 글로벌 시장에서 생존이 불가능한 위치에 놓여있다.

이에 국내산업 시장에서는 RFID를 기반으로 한 기술에 대한 관심이 가열되고 있다.

대형유통매장에서 발생하는 도난을 방지키 위한 취지로 개발된 EAS(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도입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는 제품의 입고부터 출하, 최종 판매 과정에 이르기까지 가시성 제고를 중점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 가정산업 부문 공급망의 관리 효율을 높이기 위해 바코드와 RFID를 병행한 CE(Consumer Electronics Supply Chain) 공급망 가이드라인이 현장에 적용됨에 따라, 팔렛트 수준부터 박스 그리고 단품까지, 작은 가전제품부터 부피가 큰 제품까지 태깅(tagging)이 가능해졌다.

뿐만 아니라 글로벌 RFID 시범사업이 추진된 결과, ‘TLS(Transport and Logistics Service) Pilot’이 개발돼 공장 출하시점부터 물류창고와 터미널 등 물류 프로세스 전반에 걸친 RFID 적용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여러 기업이 연계하는 생산 물류, 판매, 소비, 회수 전반에 걸친 글로벌 end-to-end 공급망의 흐름 과정에서 개별물품 수준의 실시간 물류정보를 비롯해, 동기관리를 지속적으로 운용해 정보오류를 최소화하고 물류정보의 무결성 및 개별 공급ㆍ사슬별 물류정보 관리를 제공하는 GLIS(Global Logistics Information Synchronization)기술을 기반으로 한 SSCM(Smart Supply Chain Management)시스템이 연구 개발돼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효과 검증돼 기술 확산 중
지난 몇 해 전만 하더라도 인식률 등 RFID 성능에 대한 의구심을 배제할 수 없었다.

하지만 정부의 전폭적인 투자와 더불어 연구기관 및 기업체에서 까지 기술력 향상에 대한 R&D가 지속적으로 이뤄지면서 기술의 성숙도 또한 높아지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는 실제 RFID 기술을 도입하는 업체수가 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성공사례가 소개되면서 입증됐다.

지난 2006년 RFID를 기반으로 의약품 공유 시스템을 구축한 한미약품은 RFID 태그의 패턴, 생산라인 설비, 규격 등을 수정해 현재 산업현장에 적합한 시스템을 구축해 사(社) 측의 약 585개 품종에 이를 적용, 의약품 생산부터 발송, 공정, 약국 재고수량 및 판매관리에 이르기까지 RFID를 활용해 효율성을 강화하고 있다.

박명준 한미약품 IT 차장은 “RFID의 인식률과 오류 정도는 태그 부착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다”며 “도입 초기에는 상품 적재시 인식을 못하는 오류가 발생했으나, 의약품 포장재 및 규격 형태를 수정해 문제점을 해결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RFID를 상품에 부착함에 따라 주문 수량과 품목을 일일이 수작업하지 않아도 돼 생산력이 향상됐고 약국에서의 적정재고량 비교ㆍ산정해 실시간 주문이 가능하고 유통기한 만료의약품에 대해서는 현장에서 직접 확인, 자동 반품처리가 가능해져 신뢰성이 강화됐다”며 효과를 강조했다.

이와 더불어 RFID는 패션잡화 등에도 확대ㆍ적용되고 있다.

이 분야에서는 국내외 불법복제품 제조 및 유통 방지를 목적으로 제품에 RFID 태그를 부착해 진품여부를 확인하는데 활용되고 있고 이를 통해 각 제조사의 출고부터 본사 A/S센터, 국내외 판매점에서의 입출고 및 재고확인까지 각 종 통계분석 정보가 수집 제공됨에 따라 투명한 유통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

MCM 협력업체 관계자는 “불법유통 및 거래를 방지하는데 RFID가 유용하게 쓰이고 있고 프로세스 전 과정의 데이터가 확보 가능하기 때문에 세금탈세는 물론 불법복제 등으로 인한 피해를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며 “도입 후 상품의 진품여부가 확인 가능해 소비자들로부터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강화됐고 생산자 측면에서는 생산ㆍ판매관련 시간적 경제적 비용이 25% 절감되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전문가를 비롯해 업계 관계자들은 RFID 표준화가 정립돼 있지 않은 점을 지적하고 있다.

업계 전문가는 “부착방법 및 규격에 대한 표준화가 필요하고 이에 대한 R&D와 투자가 뒷받침 돼야 할 것”이라며 “국내 RFID 기술을 국제표준화 규격에 상응하는 단계까지 반드시 끌어올려 글로벌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어야 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RFID 표준화, 국제 경쟁의 척도
“머지않아 RFID 표준화 기술이 국가 경쟁력의 평가 기준이 될 것이며, 이는 물류산업은 물론 제조 생산 등 전 산업분야의 수준과 발전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될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 같이 기술표준화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현재 RFID의 표준은 GS1 (Global Standards Number one) EPCglobal 표준화 기구가 ISO와 함께 기술표준화를 주도하고 있고 지난해부터 시장수요를 중심으로 표준화 활동을 전개한 결과, 바코드를 포함한 자동인식기술 전반에 대한 표준화가 추진되고 있다.

다시 말해 전 세계 150개국 108개 회원기관을 통한 전 세계 100만 이상의 회원사를 보유한 GS1의 표준화에 상응하는 기술력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글로벌 시장과 소통이 불가능해 결국 도태될 수밖에 없고 FTA효과도 수포로 돌아가게 된다는 것이다.

현재 폭스바겐, 벤츠, BMW, GM 등 글로벌 자동차 업계 간의 생산, 물류 프로세스 단계를 최적화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 GS1 회원 유치가 어려운 실정이며, 이 때문에 IBM, SAP, Siemens 등의 IT 솔루션사(社)들과 GS1 표준을 기반으로 한 공동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에 업계 전문가는 “국내시장은 아직까지 RFID 기술력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고 기업 또한 투자대비 성과위주로 경영하고 있기 때문에 몇 몇 일부 업체를 제외하고는 별다른 신경을 쓰지 않는 상황”이라며 “지금 당장은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지만 RFID 기술력이 없다면 대기업들도 해외시장에서 성공을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아직 상용화는 물론 표준화 작업의 성과가 뚜렷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와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며 “반드시 국제통용기준에 적합한 단계로 기술력을 끌어올려야 시장에서의 생존을 담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