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점검(下)]신생 DTG제품 ‘통신오류’ 등 문제 속출
상태바
[긴급점검(下)]신생 DTG제품 ‘통신오류’ 등 문제 속출
  • 정규호 기자 bedro10242@naver.com
  • 승인 2013.04.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AS대리점․콜센터에 직접 확인해 볼 것”

전문가들, 신생 DTG제품 최소 선별법 조언
DTG 운행정보 업데이트 지금 바로 확인해야
DTG 검사비 ‘수 천 만원’…제작사 “너무 비싸”

신생 디지털운행기록계(이하 DTG)의 제품하자, 통신오류, 편법장착 문제가 속출하는 가운데, 교통업계에서도 고민이 커지고 있다. 값싸고 성능이 우수한 제품을 선별하고 싶지만 어떤 제품이 좋은지 비교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최소한 AS지점이나 콜센터가 있는지 직접 확인해 볼 것을 조언하고 있다. 그래야만 제품을 팔고, 회사문을 닫아 버리는 일명 ‘먹튀’(먹고튀는) 회사로부터 발생하는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교통운수종사자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검증을 해야 할 지 들어봤다.

현재 교통안전공단의 DTG 성능 시험을 통과한 업체는 총 34곳(버스․화물 26개, 택시 8개). 이 밖에 6개의 업체가 공단에서 추가 검사 중이므로 총 40여개의 업체가 경쟁 중이다. 제작사당 최소 2개 이상의 제품을 출시하고 있으므로 약 80개의 제품이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셈이다. 문제는 교통운수종사자들이 80개나 되는 DTG들 중 어떤 제품에 문제가 있는지 구별하느냐다.

“제품 AS지점, 콜센터 직접 확인하라”
“성능 좋고, 값 싼 DTG를 구입하는 것은 소비자들의 당연한 권리이다. 가격 비교는 쉽지만 성능을 비교하기란 DTG업계에서도 만만치 않은 작업이다” 한 DTG업체 대표의 말이다. 운행기록계는 아날로그, 전자식을 걸쳐 최근 IT기술이 접목돼 디지털로 재탄생했다.  기술이 고도화 됐다는 의미인데, 교통운수종사들로서도 선별하기가 상당히 어려워졌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DTG전문가들은 제작사별 ‘AS지점’, ‘콜센터’ 구축 등을 반드시 검증할 것을 조언하고 있다. 단순히 제품만 판매하려는 건 아닌지, 사후 보장도 확실한 것인지 확인하라는 의미다. 예를 들어 A사의 경우 50만원인 DTG를 12만원에 판매하면서 AS보증기간을 무려 5년으로 잡았다.

정말 5년이라는 기간 동안 AS보증이 가능할까?

AS를 받으려면 AS대리점과 콜센터가 필요하고, 그에 상응하는 운영비가 필요하다. 때문에 무작정 AS보증 년 수를 늘리고, 값싸게 제품을 판매하는 영업방식은 먹튀 회사일 개연성이 매우 높으므로 한 번 쯤은 의심해봐야 한다. 기존 메이저 DTG사들은 이런 먹튀회사가 전체 시장의 60~70% 정도가 될 것으로 진단하고 있다. 대부분 상식이하로 덤핑경쟁을 하다 보니 AS를 구현하지 못할 것이 분명하다는 이유에서다.

이미 몇 몇 업체들은 제품 판매가 원활하지 않자 10만원대로 제품 가격을 낮춰 입찰 경쟁을 벌이고 있다. 때문에 AS구축망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반드시 검증하는 것이 신생 DTG문제의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지금 바로 운행 데이터 확인해라”
다음으로는 DTG의 운행 정보가 올바르게 송출되고 있는지 지금 당장 확인하고, 문제가 있을 시 제조사에 즉각 조치를 요구해야 한다. 교통업계는 DTG를 올해까지 의무 장착해야 한다.  올해가 지나면 많은 업체가 먹튀회사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미 장착을 했다면 지금 바로 운행정보 송출을 확인하고, 문제가 있다면 회사가 도산하기 전 조치를 받아야 한다.

실제로 대구 관광버스 22개 업체의 경우 A사의 DTG를 전량 장착했는데, 운행 정보가 송출되지 않아 타사의 제품으로 교체할 계획이다.  하지만 바꾸려는 타사의 업체도 신생 업체여서 모든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상황. 그제서야 메이저 DTG업체들에게 문제 해결을 요청하는 중이다. 때문에 장착을 완료한 차량이라면 차량의 운행기록정보가 교통안전공단 홈페이지에에 올바르게 올라가고 있는지 지금 바로 확인하고, 올라오지 않는다면 즉시, 문제 해결을 받아야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개인차주들의 경우에는 조합과 협회에서 적극적으로 나서서 업체 검증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 개인차주들의 경우 영세하다보니 제품 가격이 싸다면 선택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이다. 결국, 운행 정보가 송출되지 않으면 과태료 100만원을 지불해야 하는데, 십여 만원 아끼려다 낭패를 볼 수 있다.

아울러, 최근 들어 몇 몇 유통업체들이 공단의 DTG 시험 검사가 완료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마치 DTG 판매가 가능한 것처럼 속여 지역 총판대리점을 모집하고, 수 억원의 계약금을 챙기고 있다. 만약 제품이 제대로 팔리지 않아 문을 닫는 상황으로 이어진다면 수 억원의 총판대리점 계약을 한 업체들만 자칫 사기를 당할 수 있어 차후 사회적 문제로도 번질 우려가 크다.

DTG업계, “정부의 관리 허술 근본 원인”
DTG업체들은 이런 문제들이 속출하는 이유로 업계의 덩핌경쟁도 지적하지만 정부의 관리 허술이 더욱 근본적인 문제라고 꼽고 있다. DTG업체들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정부는 이득을 보고 있다는 것이다.
국토교통부 산하의 교통안전공단은 DTG 제품 시험 비용으로만 건당 수 천 만원의 수입을 얻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공단 시험 용역비 264만원, GPS DTG 국토부 규격비 460만원, 통합단말기 유량검증 시험비 건당 900만원. 시험비로만 무려 1600만원 정도를 받고 있다.  3월 22일 기준으로 57개의 제품이 시험 완료 했으니 단순 계산만으로도 수 십 억원의 수입이 발생됐다.

특히, 통합단말기 유량검증 시험의 경우 시험 규격을 비공개로 하고 있어 이를 통과하려면 수 차례 검증을 받아야 해 DTG업체들로서는 검사비 부담이 매우 버거운 상황이다. 실제로 한 DTG업체는 시험 검사비로만 5천만에 가까운 비용이 소모됐다.  업계에서는 시험비용이 터무니 없이 높은 것도 불만이지만 시험만 하고, 무분별하게 DTG 시장을 열어주는 것에 가장 큰 불만을 가지고 있다.

DTG업체의 한 대표는 “이렇게 업체가 난립하게 된 원인 중 하나로 공단에서 DTG시험 비용으로 너무 많은 이득을 챙기려 하는 것도 이유 중 하나”라며 “지금이라도 수 조원의 시장 관리를 확실해 해야 한다. 이러다간 DTG사들 모두 문을 닫아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유럽의 경우 DTG 편법 장착의 문제를 막기 위해 장착점(업소)은 정부에서 직접 관리해 아무나 운행 정보를 조작하지 못하게 한다. 러시아에서는 교통청, 중국 일부 성에서는 운수관리서에서 직접 관리한다”고 설명했다.

다른 DTG업체의 대표는 “DTG제작사들이 신제품을 내놓고 있지만 이는 원천기술을 가지고 있는 회사에서 제작을 해주는 것이다. 판매 업체는 40개이지만 제품을 제작해주는 곳은 손가락으로 꼽힌다”며 “좀 더 검사를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