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버스업계, 자생노력 절실”
상태바
“전세버스업계, 자생노력 절실”
  • 정규호 기자 bedro10242@naver.com
  • 승인 2013.11.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세버스 시한부 인생을 살다’라는 주제로 취재를 하면서 다양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 전세버스 회사의 대표들을 만났다.

공급과일, 차량 연식 3년 제한 등의 문제 때문에 하나같이 ‘정말 어려워 죽겠다’, ‘회사 문 닫을 지경이다’ 등의 소리로 입을 열었다.

반면,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주목할 만한 차이점들이 있었다.

이중 일부 회사 대표들은 업계 안에서 자정 노력과 단합된 모습을 갖춘다면 현재 어려움들을 충분히 타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최저입찰제 명문화, 버스․부품 등 공동구매, 협동조합, 버스 돌려쓰기 등의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한 사장은 “이런 아이디어들은 그동안 줄곧 업계 내부에서 제기된 것이지만 소기업이 많고, 조합과 연합회 등의 내부적 갈등이 심해 추진력을 갖고 일을 시행하기가 어려운 상태라 현재 총량제 전환에만 집중하는 모습이다”고 말했다.

이야기를 바꿔 렌터카는 전국에 36만대가 있을 정도로 육상운송분야에서는 가장 많은 대수를 보유한 업종이다. 공급과잉이 심하다는 의미도 포함돼 있다.

하지만 제주도를 제외한 각 시도 조합에서는 총량제, 면허제 도입을 적극적으로 요구하지 않는다.

등록제 장점을 업계 내부적으로 잘 살려 서비스 고급화 전환에 성공했기 때문이다.

이를 테면, 도어 투 도우(Door to Door), 네비게이션, 차종 선별, 카쉐어링, VVIP 등이 부가서비스로 진행되고 있다.

이밖에도 대기업들은 차를 대출받아 구입해 3년 동안 대여해주고, 중고차로 다시 파는 방법들을 고안해 내 중간 손해를 최소화하면서 신차를 원하는 고객들의 니즈에 대처하고 있다

전세버스업계도 신차가 나오면 3년까지는 전세버스로, 그 이후로는 시내외․고속버스 차를 돌려가며 쓰는 비슷한 방법들이 있다.

등록제라는 점에서 전세버스와 렌터카 업종은 닮은 구석이 많다. 전세버스업계가 렌터카업계를 교훈 삼아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들을 벤치마킹한다면 도움이 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