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 자동차리콜과 소비자
상태바
사설 = 자동차리콜과 소비자
  • 박종욱 Pjw2cj@gyotongn.com
  • 승인 2014.01.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동차리콜이라는 제도가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이제 거의 모든 자동차 소비자가 이해하고 있다. 자동차 제작과정에서의 결함에 의해 판매한 자동차에 이상(하자)이 생겼다는 점이 확인될 경우 자동차 제작사가 이를 무상으로 수리해주는 제도가 바로 그것이다.

따라서 리콜이 없는 자동차가 리콜을 하는 자동차보다 우수하다고 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자동차 제작과정에서의 결함을 제작사가 시인하는 것 자체가 불편한 진실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이유로 자동차제작사들은 리콜에 적극적일 수 없다. ‘우리가 만든 자동차에 결함이 생겼다. 그러니 우리가 무료로 고쳐주겠다’고 나서는 일이 그 기업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기에 그렇다.

그런데 치명적인 하자가 아니라면 리콜을 선언한 자동차제작사의 태도가 오히려 믿음직하다는 의견도 있다. 제작상의 결함으로 파악되는 하자에 대해서 끝까지 그것이 아니라고 우기는 제작사의 발뺌이 불쾌해서 그렇다는 얘기다. 그런 이유에선가, 실제 미국 소비자들은 사소한 하자에 대해 자발적 리콜을 더많이 하는 자동차제작사에 더많이 친근감을 갖는다는 이야기도 있다. 정직을 기업의 최우선 덕목으로 판단하는 소비자 인식이 강할수록 가능한 일이다.

그런저런 이유로 자동차제작사들은 자기 회사가 만든 자동차가 리콜대상이 되는 상황이 즐거울 수 없다. 또한 일단 리콜에는 적지 않은 비용이 뒤따른다. 그렇지만 제작 상 하자가 확인되면 어쩔 수 없이 리콜에 나서지 않을 수 없게 돼 있다. 그것이 법이고 또 룰이다.

그런데 좀은 설명하기 어려운 현상이 있다. 그렇게 제작 상 결함이 발견돼 리콜이 시작돼도 소비자의 20% 정도가 리콜에 응하지 않는다고 한다. 바빠서, 타고 다니는데 불편이 없어서 등 그 이유도 가지가지다.

여기서 자동차제작사가 리콜을 결정하기까지의 과정을 들여다보자. 여러 경우가 있을 수 있겠으나, 소비자들의 불만과 문제 제기에 자동차 제작사들이 쉽사리 제작결함이라고 인정하지 않는 한 제작결함이 인정되기까지 많은 노력과 시간, 비용 등이 요구된다. 문제가 복잡해지고 민원이 증가하면 정부가 개입한다. 이 같은 공방이 이어져 마침내 자동차제작사의 제작 상 결함이 인정돼야 리콜이 시작된다. 물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어렵게 도입된 이 제도가, 또 어렵게 이뤄지는 리콜에 대해 소비자들은 좀은 쉽게 받아들이는 게 아닌가 싶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