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산업위기, 노사상생으로 풀어야
상태바
자동차 산업위기, 노사상생으로 풀어야
  • 교통신문 webmaster@gyotongn.com
  • 승인 2007.06.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AMA 세미나, 강경투쟁의 악순환 고리 단절

“노조가 회사의 성장 자체를 가로막고 있다”

지난 달 29일 한국자동차공업협회가 개최한 ‘자동차산업 전략세미나’에서 김재원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자동차산업 노사관계 발전 방향’에 대한 주제발표를 통해 “위기에 처한 한국자동차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노조의 강경투쟁 악순환 고리를 단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현재 자동차 산업의 파업은 우리가 일찍이 경험하지 못한 위기감을 느끼게 한다”면서 “파업을 원하지 않는 조합원의 의사를 무시하고 노조의 결속력 때문에 파업을 하기 때문에 찬반투표조차 하지 못하는 위기에 놓여있다”고 노조를 비판했다.

한미 FTA 반대를 위한 파업의 모순점도 지적했다.

FTA의 선순환 구조, 즉 최대 수혜품목인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 강화로 세금을 더 내고 이를 농업부분 등 취약산업에 대한 지원 증대로 이어지는 장점을 외면한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특히 “한국 자동차 산업은 현재 몇가지 측면에서 위기에 처해있다”고 진단했다.미국 시장 점유율의 하락, 일본산 메이커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생산성, 환경친화적 자동차 개발의 부진 등 경쟁력을 상실해 가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경제적, 기술적, 노사 관계적 측면에서의 전환기적 위기상황에 직면해 있다는 지적도 함께 했다.

김 교수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노사 상생을 통한 경쟁력 강화에 중점을 둬야하며 특히 한미 FTA 체결이 이뤄진 시점의 경쟁력이 최고조에 달하도록 해야 하는 과제를 시급히 풀어나가야 하는 시점”이라고 말했다.

또한 노조에 대한 회사와 정부의 단호하고 일관된 정책시행을 주문하기도 했다.

생산중단을 우려한 무리한 요구를 수용하는 것도 모자라 파업 임금 손실을 보전해주는 잘못된 관행을 고치는 한편 무노동 무임금 원칙의 고수와 함께 고용불안 심리를 해소하는 방안의 필요성도 제시했다.

정부도 임금 및 고용경직성에 따른 산업경쟁력의 약화, 사내 하도급 문제, 산업 공동화 문제 등이 전 산업의 공통된 과제이니 만큼 노사 자율교섭의 한계를 보완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을 했다.

한편 비엠알컨설팅 이성신 대표는 자동차산업의 경쟁구도 변화에 따른 대응전략으로 글로벌 기반을 구축하는 방안이 시급하다는 주장과 함께 “북미, 서유럽과 같은 기존 시장을 벗어난 신흥시장 개척과 중국과 인도 등 후발 업체에 대한 견제, 범지구적 차원의 개발․생산․판매․조달 네트워크 구축, 양산차종 이외의 친환경 자동차 및 저가차의 개발능력과 원가경쟁력을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