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관광, 이대로는 안된다
상태바
우리 관광, 이대로는 안된다
  • 관리 webmaster@gyotongn.com
  • 승인 2007.11.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3년까지 행정부를 수반할 대통령 선거가 한달도 채 남지 않았다. 지난 5년 관광계가 열심히 노력했는지는 모르겠지만 받아보는 성적표는 초라하기 짝이 없다. 관광정책이라는 복합적 대상을 한마디로 평가하기에 무리가 따르긴 해도 국제관광수지 100억불 적자로 작금의 상황을 설명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한국경제상황에 대해 10년전 에는 넛크랫킹(Nut Cracking) 상태라 하더니 삼성이 어느 날 샌드위치라고 한 후 요즘은 우리사회 전체가 샌드위치로 부르게 된 현상이 있다. 관광에선 이처럼 일본과의 격차는 벌어지고 중국까지 양적으로 우리를 추월하는 샌드위치 상황이 더욱 증폭된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이러한 상황이 계속될 때 국가경제의 부담도 그렇지만 무엇보다 정부는 물론 국민과 관광업계 조차 한국관광을 일으킬 의지조차 포기하고 외면할지 모르겠다는 것이다.
상황이 이렇게 된 원인을 많은 이유로 설명할 수도 있지만 제일 아쉬웠던 점 하나는 비현실적 정책 목표설정이다. 2003년 당시 경주에서 대통령이 현 정권의 임기가 끝나는 2008년까지 외래관광객 1000만명을 유치하겠다는 선언이 기억된다. 이러한 발표가 있자 그때 이를 실현가능한 정책목표로 본 사람이 거의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게다가 정권내내 이념적이고 추상성이 높은 이슈가 사회를 주도하니 언젠가부터 대통령이 선언한 정책목표조차 반드시 달성해야 할 엄중한 정부의 역할이라는 점도 모호해진 듯싶다.
문득 며칠 전 TV에 공부관련 프로그램에서 지도교사가 했던 말이 생각난다. 그는 학생들에게 실현가능한 목표를 세워 하나하나 성취해 나가는 것이 공부에서 가장 중요하다라는 말을 하고 있었다. 이런 원칙이 어디 공부만 적용되는 것이랴.
사실 요즘 들어 가장 부러운 곳은 일본이다. 고이즈미 총리시절 불붙은 관광정책의 열기로 최근 관광입국(觀光立國) 실현 계획을 흔들림 없이 추진해 나가는 것을 보노라면 우리와는 사뭇 다르다는 느낌을 받는다. 관광입국, 오래전부터 일본이 해오던 말이지만 영어로 된 설명을 살펴보면 역시 간단치 않구나 하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Making Tourism based Country, 관광기반국가 건설이라니!"
곰곰이 생각해보면 일본의 이런 정책 슬로건의 설정에 수긍이 간다. 지방변두리까지 탄탄한 관광인프라와 내수시장, 음식에서 건축, 의복, 축제등에 걸쳐진 신일본양식(Neo Japanesque)에 대한 자신감이 준비된 내부 역량이라면 앞으로 국가간 경쟁이 연성국력(soft power)에 있음을 간파하고 관광을 국가 전략화하는 것은 외부환경의 변화에 대한 일본 정부의 대응역량인 것이다.
돌이켜보면 1980년대 말 1000만명 배증계획(ten million program)에서의 조기 목표달성도 그랬지만 2010년까지의 1000만명 입국실현도 현 추세라면 조기 달성이 능히 가능한 상황이라는게 우리와 다른 것이다. 그들은 한다면 하고 우리는 한다고 해도 못한다. 오랫동안 국내에서는 맹랑한 논리의 균분적(均分的) 관광개발과 정체불명의 소프트웨어버블이 나름의 당위에도 불구하고 한국관광의 인프라 취약과 매력 부족, 실질적 예산 삭감을 초래한 하나의 원인으로 작동되어 왔다고 본다.
어쨌든 일본의 관광입국과 중국의 관광강국(觀光强國) 사이에 우리는 어떠한 새로운 정책 목표를 설정하느냐 하는 일이 시급하다. 이것을 정하려면 우선 우리의 관광경쟁력 요소를 잘 살펴봐야 한다. 그나마 눈에 띄는게 270여개의 관광학과와 지정학적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벤션 인프라이다.
결국 양으로는 안 되고 질로 승부할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선진관광국’이나 예전부터 써왔던 ‘아시아 관광 허브’의 내실화 정도가 대안으로 떠오른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전략 목표로는 한창 고민 중인 TT(Tourism Technology)를 기반으로 한 관광 R&D 중심국과 아시아 컨벤션 중심국이 어떨까 싶다. 관광교육의 유학목적지, 관광표준화와 아시아 관광의 전망과 분석, 성공모델의 창출 등의 주도 등을 세부 내용으로 하는 R&D 중심국, 하기에 따라서는 세계 4대 강국 중간위치와 최종 냉전분단국이라는 상황을 역발상을 통해 세계정치 갈등의 조정장 또는 세계평화의 실현을 논의하는 곳으로 못만들 이유가 없는 것이다.
분명한 것은 지난 50여년 동안의 관광정책 패러다임으로는 대한민국 관광의 문제를 풀기 어렵다고 보는 것이다. 지금 변화가 없으면 한국관광의 파멸을 논해야 할지 모른다. 새로운 정부에 기대를 걸어보는 11월 말이다.
<객원논설위원·김상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