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택시의 성장과 우려
상태바
앱택시의 성장과 우려
  • 곽재옥 기자 jokwak@gyotongn.com
  • 승인 2015.09.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 등장할 만큼 ‘카카오택시’는 대세다. 출범 6개월여만에 누적호출 2000만콜의 실적을 달성하고 택시기사 25만명 가운데 약 15만명을 기사회원으로 확보하면서 기존 콜택시 시장의 2배 이상 앱택시 시장을 키웠다는 게 이석우 다음카카오 대표의 증언이다.

이는 택시업계에 몸담고 있는 다수 관계자들의 예측에 어긋나지 않는 결과이기도 하다. 다수의 신생 앱택시들이 경쟁적으로 시장에 뛰어든 올 상반기,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은 주자로 그들은 주저 없이 카카오택시를 지목했다. 이유는 월간 사용자가 4000만에 육박하는 국민메신저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한다는 사실 때문이다.

지금 같은 추세가 계속된다면 의원들의 지적처럼 카카오택시가 거대공룡처럼 시장지배적 사업자가 돼 정부의 통합콜(1333)이나 중소 콜(앱)택시 업체들의 수익을 독식할 우려가 없지 않다. 그렇게 되면 현재의 무료서비스는 언젠가 유료로 전환돼 택시기사나 승객에게 부담을 지울 날이 오기 쉽다.

하지만 다음카카오가 ‘땅 파서 장사하는 곳’이 아닌 이상 부적절한 상황에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강요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적어도 그러한 성공과 정책전환이 택시사업자와 승객 양자에게 정당하게 받아들여지고, 서로 간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면 업계를 되살릴 방도를 시장의 원리에 맡겨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는 생각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 신종 트렌드가 벌써부터 양자를 불신으로 이끄는 새로운 문제점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데 있다. 이미 ‘사업구역을 벗어나는 택시의 영업행위’를 국회가 지적하고 나왔고, 서울개인택시업계가 끝내 의심을 놓지 못했던 ‘단거리 콜에 대한 승차거부’를 벌써부터 언론이 문제 삼고 있다.

다행인 것은 이러한 부작용들은 IT 기술을 가지고 시장에 뛰어든 앱택시회사들이 그들의 강점을 활용하면 충분히 통제할 수 있는 내용이라는 점이다. 고객과 업계의 입장에서 진정 상생을 도모하고자 했던 초심을 잊지 않는다면 다수 회원을 확보하는 데 매몰되지 않는 과감한 용단이 필요한 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