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유가 인상, 요금 동결···. 여객운수사업을 덮친 악재가 업계에 전대미문의 고통을 안겨 주고 있는데도 정부는 말이 없다.
감염병에 대한 우려로 승객이 절반 이하로 준 노선버스업계의 매출액 감소는 지난해 이후 올 10월까지 평시 대비 4조원을 넘는다고 한다. 어떻게 감당하라는 것인지.
정부는 정부대로, 정해진 예산을 집행해야 하기 때문에 코로나19 같은 상황을 극복하는데 필요한 돈을 미처 마련해놓지 않았기에 피해가 큰 업종을 일일이 챙겨 지원하기 벅찬 사정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대표적인 공공재’라며 ‘우선 지원 대상’으로 삼던 노선버스에 대한 무관심 내지는 방관은 어떤 설명으로도 납득하기 어렵다는게 업계의 지적이다.
점잖게 공문으로 정부 지원을 호소해온 노선버스업계가 매우 이례적으로 세종 정부 청사 앞마당에 모여 목소리를 높인 것은 그런 이유다. 굴릴수록 적자만 늘어난다고 회사 문을 걸어 잠그고 운행을 멈추면 당장 국민들의 원성이 터져나오는 것은 불보듯 뻔하다. 운행 중단이 두려운 것이 아니라 그 이후의 문제가 두렵기에 함부로 차를 세울 수도 없다. 어쩌면 여기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은 대량 실직사태에 내몰리는 것은 다음 문제일지도 모른다.
특히 지자체의 재정 지원이 없는 시외·고속버스는 매출 감소의 피해를 고스란히 업계가 떠안아야 하기에 문제의 심각성이 더하다. 그래서 그들의 목소리는 마치 ‘터지기 직전의 둑’에서 나는 균열음처럼 처절하다.
더는 지금 상태로 노선버스를 둘러싸고 있는 악재가 사라지기를 기다리는 것은 무의미할 것이다. 따라서 바퀴를 돌려야 차가 굴러가듯, 당장 급한 것이 바퀴를 돌리는 힘, 그것은 업계에 돈이 들어가야 한다는 점이다. 재정 지원이 됐건, 재난지원이 됐건, 요금 인상이 됐건 긴급 지원의 명칭은 중요하지 않다.
이것저것도 안되면 달리 선택이 없으므로 차를 세울 수밖에 없다는 것이고 그 시한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유념해야 한다.
또 업계가 물어온 비용을 줄이거나 없애주는 것도 업계에는 큰 도움이 된다. 고속도로 등 유료도로 통행료 부담을 해소해주고 요금도 올려줘야 한다. 서민 경제 운운하며 요금 인상을 기피하는 일은 논리적으로도 맞지 않다. 노선버스 종사자들은 서민이 아닌가. 그들의 생존권을 위해서도 적정 비용이 업계에 들어가도록 해야 한다. 그래야 노선버스를 이루는 거대한 톱니바퀴가 천천히라도 굴러가는 것이다.
저작권자 © 교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