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GM 부평2공장 부침 끝에 60년 만에 문 닫아
상태바
한국GM 부평2공장 부침 끝에 60년 만에 문 닫아
  • 교통신문 webmaster@gyotongn.com
  • 승인 2022.11.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962년 준공…국내 최초 ‘현대식 조립라인’
공장 활용 방안 미정...말리부·트랙스 단종
인력 창원공장 전환·부평1공장은 정상 가동

 

2010년대 한국GM 부평공장


현대식 자동차 생산의 요람 역할을 한 한국지엠(GM) 부평2공장이 지난 26일 생산 종료와 함께 문을 닫았다.
트랙스와 말리부 차량 단종으로 생산 물량이 없는 상황에서 무리하게 공장을 운영하기보다 고정비 감축을 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GM은 부평2공장 문을 닫는 대신 현재 판매 중인 트레일블레이저 등 주력 차종 판매에 집중한다는 계획인데 회사 측의 선택과 집중이 사업 반등으로 이어질 지 주목된다.
인천시 부평구 청천동에 있는 한국GM 부평공장은 1962년 국내 자동차 제조업체인 새나라자동차의 부평공장 준공으로 첫 출발을 알렸다.
새나라자동차는 과거 일본군 군용차량을 만들던 부평의 폐공장을 활용해 국내 최초로 현대식 자동차 조립라인을 조성했고, 같은 해 11월부터 닛산 블루버드를 생산했다.
폐차된 미군 지프를 가져다 해체한 뒤 다시 조립하는 수준에 그치던 시기에 컨베이어 벨트를 갖춘 조립 공정을 선보인 부평공장의 풍경은 획기적이었다.
그러나 새나라자동차는 차량 부품을 수입에 의존하던 상황에서 생산에 차질을 빚다가 결국 1년여 만에 문을 닫았다. 이후 부평공장은 여러 차례 주인이 바뀌며 다양한 변화를 겪는다.
신진자동차는 1965년 새나라자동차 인수 이후 부평공장을 165만2천㎡ 규모로 확장하고 일본 도요타와 합작해 버스·트럭과 함께 퍼블리카·코로나·크라운 등 승용차를 생산한다.
특히 코로나는 1966년 출시 이후 1972년까지 누적 4만4248대의 판매고를 올렸다. 당시 출고가는 83만7천원으로 지난해 물가를 기준으로 환산하면 2950만원 상당의 금액이다.
신진자동차는 1972년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 공동으로 자본금을 출자해 지엠코리아(GMK)를 설립하며 GM과 첫 인연을 맺었으나, 이듬해 오일쇼크로 인한 판매 부진 속에 결국 부도가 났다. 산업은행이 GMK의 신진자동차 보유 지분을 인수하는 과정에서 새한자동차로 사명이 바뀐다.
이후 대우그룹이 새한자동차를 인수해 대우자동차의 시대가 열린다. 대우자동차는 1983년 부평공장에 기술연구소를 세운 데 이어 1992년 GM의 남은 지분을 모두 넘겨받아 독자 노선을 걷는다.
부평공장은 1986년 부평1공장이 새롭게 조성되며 기존에 있던 시설들이 부평2공장으로 분류됐다.
1970∼1990년대 부평2공장에서는 로얄 시리즈, 프린스, 에스페로를 거쳐 레간자·매그너스·토스카 등을 생산하며 중형 세단의 명맥을 유지했다.
부평공장은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등을 거치며 구조조정과 생산 중단 등 부침을 겪기도 했다.
GM은 2002년 존폐에 갈림길에 있던 대우그룹과 양해각서를 맺고 신설법인 GM대우를 출범했으며, 2011년 사명을 한국GM으로 바꾸고 차량 엠블럼도 쉐보레로 교체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부평2공장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지속해서 가동률이 떨어지다가 9세대 신형 말리부를 생산하며 반등하는 듯했지만, 후속 모델이나 신차 생산을 추가로 배정받지는 못한 상황이다.
국내 최초 현대식 자동차 공장으로 출발해 60년간 완성차 업계의 한 축을 담당했던 부평2공장은 결국 트랙스와 말리부 차량 단종에 따라 지난 26일 이후 잠정 문을 닫았다.
부평2공장 소속 노동자 1200여명은 각각 창원공장 700여명·부평1공장 500여명으로 나뉘어 전환 배치된다. 부평2공장의 향후 활용 방안은 아직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부평2공장은 폐쇄되지만 부평1공장은 이후에도 계속 가동된다.
한국GM은 트레일블레이저를 생산하는 부평1공장과 차세대 크로스오버유틸리티차(CUV)를 준비 중인 창원공장을 중심으로 연간 50만대의 차량을 생산할 방침이다.
지난 10월 19일 로베르토 렘펠 한국GM 사장은 창원공장에서 한국 법인 출범 20주년 기념식에서 “부평과 창원공장은 2년 동안 풀가동 될 것이다. 내년 국내에서 50만대를 생산하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한국GM은 수년째 생산량이 줄면서 적자가 이어지고 있지만, 차세대 CUV가 시장에서 성공을 거두면 내년 흑자전환도 가능하다는 판단이다. 차세대 CUV는 한국GM이 전사적 역량을 집중한 차량이다. 그동안 한국GM은 차세대 CUV의 본격 생산을 위해 스파크 등 경차를 전문적으로 만들던 창원공장을 대대적으로 뜯어 고쳤고, 이 과정에서 9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했다. 단일공장 기준으로는 역대 최대 투자 규모다. 이 밖에 부평공장에도 2000억원을 투입하는 등 총 1조1000억원 가량의 투자를 진행했다.
다만 아직까지 국내에서 전기차 생산 계획은 없다. 2025년까지 출시하는 10종의 전기차는 모두 수입해 판매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