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마을버스 업계가 서울시의 대중교통요금 인상 연기에 대해 추이를 지켜보며 대응하기로 했다.
당초 업계는 마을버스 요금이 당장 인상되지 않으면 버스 현수막 부착 운행과 집회 등을 추진했다가, 정부 방침을 존중하기로 한 것이다.
서울시마을버스운송사업조합은 지난 22일 오후 2시 서울 양천구 목동 방송회관 3층 회견장에서 ‘제23회 정기총회’를 열어 이같이 결정했다.
총회에 참석한 이진구 서울시 버스정책과장은 “요금 인상을 기대했던 상황을 충분히 인지한다”면서도 “서울시만의 문제가 아니라 단정지어 말하기는 어렵지만, 조합과 적극 협의해 문제점들을 개선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강남지역의 한 마을버스 업체 대표는 “운행횟수를 100% 채우고 싶어도 운전기사가 없어 불가능하다”며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을 현실에 맞게 고쳐달라”고 하소연했다.
다른 마을버스 업체 대표는 “운영이 적자인데, 올해 마을버스 요금이 올라도 재정지원 기준원가와 상한액이 그만큼 낮아지면 결국 제자리”라며 재정지원 기준운송원가 현실화를 요구했다.
김문현 서울마을버스조합 이사장은 “8년을 기다린 끝에 4월 인상 소식으로 봄바람이 부나 했더니 하반기로 연기한다는 발표로 우리를 또다시 절망에 빠뜨리고 있다”며 “공적자금 투입을 전제로 요금을 책정하는 준공영제인 시내버스와 민영제인 마을버스가 요금 인상 시기를 같이하니 우리는 망할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남은 임기 동안 적자업체 재정지원 현실화와 운전기사 부족 문제, 연료비 급등에 따른 정부 지원 방안 등을 해결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