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 GM 볼트 잇단 리콜로 ‘곤혹’
상태바
LG에너지, GM 볼트 잇단 리콜로 ‘곤혹’
  • 교통신문 webmaster@gyotongn.com
  • 승인 2021.08.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내달 상장 앞둔 LG 추가 손실 예상
전문가 “K배터리 품질 우려 없애야”

최근 대규모 투자 확대와 함께 흑자 전환에도 성공한 K배터리가 연이은 리콜 악재로 곤혹스러운 상황을 맞게 됐다.

전기차 대중화와 폭발적인 시장 확대를 앞두고 국내 배터리 업계가 글로벌 시장을 계속 리드하기 위해서는 기술 개발과 함께 품질 점검과 안전성 확보가 우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와 외신 등에 따르면 미국의 자동차회사 제너럴모터스(GM)는 지난 20일(현지시간) 10억달러(약 1조1835억원)를 들여 전기차 쉐보레 볼트 전기차(EV) 7만3천대를 추가 리콜한다고 밝혔다.

지난달 말 전 세계에서 판매된 2017∼2019년 생산분 볼트 전기차 6만9천대에 대해 일부 불량 배터리 모듈 교체 결정을 내린 지 한 달도 채 안돼 추가 리콜이 나온 것이다.

이번 리콜 대상은 미국과 캐나다에서 팔린 2019∼2022년형 모델이다.

GM은 지난해 볼트 EV에서 발생한 화재<사진>로 배터리를 납품한 LG에너지솔루션 등과 화재 원인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해 한차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서비스를 진행했다. 그러나 업데이트 차량에서도 화재가 발생하면서 결국 리콜 결정을 내렸다.

외신 등은 GM의 이번 리콜에 따른 배터리 모듈 교체 비용이 총 18억달러(약 2조1303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로이터통신은 GM이 리콜 비용을 LG에 청구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문제가 된 배터리는 국내외에서 생산한 ‘NCM 622’ 파우치형으로 니켈, 코발트, 망간이 각 6:2:2 비율로 배합된 LG의 주력 배터리다.

LG에너지솔루션이 배터리 셀을 생산하고, 대부분 LG전자가 모듈화 작업을 거쳐 GM에 납품했다. LG전자는 지난해 10월 주력 사업 재편 등으로 배터리 모듈화 공정을 LG에너지솔루션으로 넘겼다.

LG측은 잇단 리콜 결정으로 적잖게 당황한 눈치다.

앞서 지난달 리콜 발표로 LG전자와 LG에너지솔루션은 2분기에 리콜 충당금으로 각각 2346억원과 910억원을 반영했는데 추가 손실이 불가피해진 때문이다.

앞으로 화재 원인 규명 결과에 따라 최종 분담 비율이 결정되겠지만 GM이 화재 원인과 책임을 전적으로 배터리 결함으로만 몰고 갈 경우 최대 2조원이 넘는 리콜 비용을 LG에너지솔루션과 LG전자가 떠안아야 할 수도 있다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GM은 지난달 리콜 발표 당시에는 배터리 모듈 제작 과정에서 ‘드문’ 제조 결함이 발생했다고 설명했지만, 이번 리콜에서는 결함의 원인을 특정하지 않았다.

LG에너지솔루션은 특히 10월 말 기업공개(IPO) 앞두고 곤혹스러운 입장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현대차 코나 EV 리콜 여파로 6500억∼7천억원 가량의 손실을 반영한 바 있는데, 또다시 적잖은 비용을 떠안을 공산이 커지면서 상장에 부담으로 작용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2019년에도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로 최근까지 충당금을 쌓은 바 있다.

그런 와중에 최근 대형 화재가 발생한 테슬라의 호주 빅토리아주 ESS ‘메가팩’에도 LG에너지솔루션과 일본 파나소닉의 배터리가 탑재된 것으로 알려져 자칫 또다른 손해배상 청구로 이어질 수도 있는 상황이다.

배터리 화재에 대한 우려는 비단 LG만의 문제는 아니다.

삼성SDI도 지난해 독일 BMW와 미국 포드 등에 공급한 일부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차량에서 화재가 발생해 4만7천여대를 리콜했다.

국내 배터리 3사중 후발주자인 SK이노베이션은 지난달 자사 배터리가 탑재된 현대차 포터2 일렉트릭(EV)에서 연기가 나는 사고가 발생했다.

아직까지 원인 조사에서 배터리 문제로 밝혀지진 않았지만, SK이노베이션 배터리를 탑재한 차량 공급이 크게 늘고 있어 긴장의 끈을 늦추지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배터리 1위 기업인 CATL과 BYD 등 중국 배터리사들의 거센 공세 속에 잦은 리콜 결정이 K배터리의 신뢰에 상처를 줄 수 있다고 우려한다.

최근 전기 배터리 업계가 흑자 전환에 성공하고, 글로벌 완성차 업체와 합작사(JV) 설립을 확대하는 등 대규모 투자에 나선 가운데 이런 분위기에도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

익명을 원한 한 전문가는 “전기차는 화재가 발생하면 배터리가 전소되는 등의 이유로 정확한 원인 규명을 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완성차 업체들이 책임을 배터리 문제로 돌려도 대응 방법이 마땅찮다”며 “배터리 업체 스스로 기술력과 안전성을 보강하는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다른 전문가도 “전기차와 배터리 기술은 과도기에 있고 일정부분 시행착오가 불가피하다”며 “국내 배터리 3사가 글로벌 톱티어의 입지를 굳히기 위해서는 이러한 난관을 헤쳐나갈 기술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