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 길 먼 ‘미래차 정비’…현안 산적
상태바
갈 길 먼 ‘미래차 정비’…현안 산적
  • 김덕현 기자 crom@gyotongn.com
  • 승인 2023.03.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비제도 개선 세미나'서 전문가들 지적
"제도·인력·예산·교육 등 의견 수렴해야"

전기차와 수소전기차 등 미래차 기반 모빌리티 정비 환경을 갖추려면 정비업계의 현실을 제대로 파악하고, 각계의 의견 수렴부터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30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미래차기반 모빌리티 혁신 대응을 위한 자동차 정비 제도 개선 세미나’에서 윤영미 녹색소비자연대 대표는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 중심으로 갖춰진 정비업계의 실태와 의견 조사를 벌여 결과를 바탕으로 연착륙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김두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위원(더불어민주·경남남해)이 주최한 이번 세미나는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미래자동차서비스산업협회가 공동 주관했다.

김태흥 국토교통부 사무관은 ‘모빌리티 정비 교육 혁신’ 기조 발제에서 “운송 및 기계 관련 기능직으로 분류한 근로자의 취업자 수를 보면 전체 취업자 44만5천명 중 40대가 12만4천명, 50대가 11만4천명으로 노령화가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정비업계는 미래차에 대한 교육 과정이나 가르칠 전문가, 교보재 등이 부족한 게 현실이다.

특히 배터리와 모터가 중심이 되는 전기차는 기존 내연기관 차보다 부품 수도 적고, 구조도 단순하기 때문에 업계는 향후 정비업계 수요가 현재의 30%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게다가 노령화와 높은 이직률, 신규 인력난 등 인력 부족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교육 인프라 부족도 문제다. 정비 관련 직종 15만 명 이상의 교육생을 어떤 예산을 확보해 어디서 가르칠 것인지도 고민해야 한다.

이효열 한국교통안전공단 실장은 해외 선진국의 자동차 정비제도 현황을 예로 들며 “단순 자격증 방식을 탈피한 정비사 교육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AR·VR 등을 활용한 교보재 및 메타버스 활용 교육 등 디지털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세미나에서는 완성차 제조사가 차량 데이터를 정비업계에 제공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김 사무관은 “대부분의 정비업체는 제작사 수리 기준의 데이터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며 “제작사 정비 매뉴얼 기반의 ‘표준 정비 매뉴얼’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안문철 기아㈜ 실장도 토론에서 “정비업계가 전기차 등 미래차를 수리하려면, 제조사가 제공하는 차체 수리 매뉴얼에 서술한 수리 방법에 따라 수리를 해야 한다”며 “제조사가 요구하는 수준의 장비도 갖춰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전국검사정비연합회, 한국검사정비연합회, 한국전문정비조합연합회, 전국전문정비조합연합회는 세미나에 참여하지 않았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