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특집=자동차와 환경(서울시 친환경교통정책)
상태바
창간특집=자동차와 환경(서울시 친환경교통정책)
  • 교통신문 webmaster@gyotongn.com
  • 승인 2010.10.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내버스 96%, 마을버스 56% 경유에서 CNG차로 바뀌어
-전기버스 올해 17대에서 내년 40대, 2014년 600대로 늘리기로
-서울경유차 86만대 중 약 20만3000대 저공해화조치, 연말 21만대
-승용차요일제, 243만8629대 중 101만5525대 참여, 한해 6-7만대 늘어

서울시 교통정책 기조는 ‘친환경 교통’으로, 교통정체와 대기오염 문제를 개선하고자 친환경 교통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왔다.  이에 따라 구체적으로 드러난 교통정책은 교통수요관리를 통해 자가용 이용을 억제하는 대신 대중교통을 강화하고 자전거 이용과 걷기 활성화에 투자가 이뤄졌다. 이같은 교통정책은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과 맥락이 닿기도 했고 타 지자체에 영향을 미치기도 해 하나의 경향과 흐름을 만들어가고 있다.

이처럼 친환경 교통정책 동조화 속에서도 범위를 좁혀 서울시가 타 지자체보다 적극적이거나 구별되는 교통정책을 살펴보면 전기차 등 그린카와 천연가스버스의 보급, 경유차량의 저공해화 사업과 승용차 요일제, 에코드라이빙과 공회전 제한장치 부착 등을 들 수 있다. 다시말하면 오염물질 배출이 많거나 교통정체를 가져오는 노후화된 경유차량과 승용차 이용을 적극적으로 억제하고, CNG나 전기차 같은 친환경차를 보급하거나 상용화되도록 집중지원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교통정책들도 외견상 타 지자체와 다를 것이 없는 것도 있으나, 정책진행 내용면에서는 서울이 보다 구체적인 진전을 보이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적극적인 CNG차 보급과 전기차 시범운행

이 중 가장 두드러지는 친환경 교통정책은 C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차량의 보급이다. 서울시 맑은환경본부 친환경교통과 천연가스차량팀장은 “경유차량을 CNG차량으로 교체함으로써 얻는 가장 큰 성과는 대기질 개선”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서울은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및 청소차의 10대 중 7대가 CNG차량으로 바뀌었다. 지난 8월말 현재 시내 및 마을버스와 청소차 1만1683대 중 72%가 경유차에서 CNG차량으로 교체된 것이다. 세부적으로 8월말 현재 시내버스 7548대 중 CNG버스가 7234대로 약 96%를 차지하고 있고 나머지도 연말까지 천연가스 버스로 바뀐다.

2000년부터 올해말까지 약 10년동안 경유시내버스가 모두 CNG차량으로 전환이 이뤄지는 것이다. 또 마을버스는 1363대 중 절반이 넘는 764대가 CNG버스로 교체됐고, CNG차량이 생산되지 않는 중형 카운티급 버스 272대를 제외하면 보급률은 70%에 이른다. 마을버스 중 CNG버스교체 대상인 1091대 중 나머지 327대의 경유차량도 2012년까지 천연가스버스로 바뀌는 것으로 계획돼 있다. 시내버스와 마을버스에 비해 청소차의 교체비율은 느리다. 서울지역 청소차 2772대 중 612대만 CNG차량으로 교체됐다.

CNG차량의 급속한 보급으로 CNG충전소도 서울시청 내와 공영차고지 등에 45개가 설치됐다. 고압으로 압축하는 가스인 CNG의 충전인프라가 이렇게 일찍 구축된 것은 역시 차량의 보급처럼 정부와 지자체의 융자지원 등과 함께 시외곽의 공영차고지 등을 거점으로 보급됐기 때문이다.

그린카 보급정책은 경유에서 CNG차량으로 교체한 것을 오는 2020년까지 하이브리드카를 거쳐 전기차나 수소연료전지차로 바꾸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중 가장 적극적인 시범운행을 하고 있는 분야가 전기차이다. 서울시는 지난 봄부터 남산 등지에서 저상전기버스 시험운전에 들어간데 이어 올연말까지 17대의 전기버스를 운행할 예정이다. 시 맑은환경본부 친환경교통과 그린카정책팀 관계자는 “내년에는 전기버스 운행을 40대까지 늘리고 오는 2014년에는 600대까지 운행할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고 말했다. 이를 통해 CNG시내버스를 CNG하이브리드나 전기차로 단계적으로 교체해 나갈 계획이다.

하이브리드카에 대한 시범운행은 택시에서도 이뤄지고 있다. 서울시는 환경부, 전국택시연합회와 서울택시조합, 현대ㆍ기아자동차, 대한LPG협회와 함께 하이브리드 택시를 보급하기위한 시범사업을 지난 11월부터 서울택시 10대(1600cc)에 대해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LPG택시를 단계적으로 LPG하이브리드차량에 이어 전기차로 전환할 계획이다. 하지만 연비가 예상보다 높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경제성면에서 택시업계의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다.

버스와 택시가  CNG하이브리드나 LPG하이브리드 단계를 거치는 것은 전기차는 아직 차량가격이 비싼데다 충전인프라 구축이 미흡하고 배터리 개발도 시간을 필요로 해 단거리 운행위주일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전기차에 대한 운행확대는 저속전기차와 고속전기차로도 이어졌다. 

시속 60km이하로 달리는 저속 전기차는 지난 4월부터  공원 등지에서 소방시설 안전점검과 주차단속 용으로도 사용돼 시내도로를 달릴 수 있게 된데 이어 지난 9월부터는 기존 RV차를 개조한 고속전기차에 대한 실증사업에 들어갔다. 이 개조형 고속전기차는 시속 150km 속도에 연료비가 동급 차량의 4분의1 밖에 들지 않은 것으로 발표돼 관심을 모았다. 수소연료전지차는 지식경제부 사업으로 2대에 대해 운행테스트만 하고 있어 타당성에 대한 실증사업과 연구 및 개발 과제면에서 전기차에 비해 늦은 편이다.

△ 노후경유차와 승용차 이용억제

CNG차량이 보급되고 전기차가 시범운영되는 대신 경유차량은 환경성 때문에 계속해서 규제나 교체 대상이 되고 있다. 경유차 중 2.5톤 이상이고 7년 경과된 차량 중 저공해조치를 이행하지 않은 차량은 내년부터 서울에서 운행이 제한된다. 제한 근거는 지난 9월 제정·공포된 ‘서울특별시 공해차량 제한지역 지정 및 운행제한에 관한 조례’로 계도기간을 거쳐 내년부터는 단속이 이뤄진다. 저공해 조치는 배출가스 정밀검사 결과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한 자동차가 배출가스저감장치를 부착하거나 LPG엔진으로 개조해야하고 그렇지 않으면 조기폐차하도록 강제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는 서울시에 앞서 인천은 지난 4월부터 경기도는 7월부터 먼저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수도권 전역에서 제한조치가 이뤄지는 것이다.

현재 약86만대의 서울시 등록 경유차량 중 2003년부터 지금까지 저공해화 조치가 이뤄진 자동차는 지난달말 현재 20만3871대다. 세부적으로 매연저감장치인 DPF부착 11만550대를 비롯 LPG개조차 6만3922대, 조기폐차 2만9399대다. 시는 저공해화 조치를 올해말까지 21만대를 달성하고 2014년까지 수도권에서는 35만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자가용 승용차는 오염물질 배출과 교통정체를 일으키는 주요 요인으로 지적돼 다양한 교통수요관리 정책이 진행되고 있다. 이 중 대표적인 것이 일주일에 한번 지정된 요일에 차량을 쉬도록 하는 승용차 요일제이다. 지난 2006년부터 시작된 승용차 요일제는 8월말 현재 대상 차량 243만8629대 중 41.6%인 101만5525대가 참여하고 있다. 시 친환경교통과 승용차요일제팀 관계자는 “서울과 인천시 등록차량도 참여하기 때문에 매년 참여차량이 6-7만대 정도 늘고 있다”고 말했다.

자가용 승용차 이용을 억제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하도록 하는 민간단체의 ‘차없는 날’ 행사도 서울시가 2006년부터 적극적 수용했다. 지난해는 차없는 날을 경험하는 상징적인 행사로 종로와 강남 테헤란로에 승용차 통행을 금지하고 자전거나 대중교통 등을 이용하도록 하는 캠페인과 행사를 전개했고, 이제는 환경부와 다른 지자체 등도 함께 진행하는 행사로 발전했다.  타 지자체와 구별되는 것 중 공회전 제한장치 부착과 에코드라이빙 프로그램도 빼놓을 수 없다. 공회전 제한장치는 지난해말 950대의 시내버스에 부착돼 운행하고 있는데 이어 올연말까지 900대를 추가적으로 달 계획이다. 서울시 친환경교통과에 따르면, 공회전제한장치 부착후 한달에 대당 평균 10만원의 연료비가 절약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친환경 운전인 에코드라이빙은 약 1만6000명의 시내버스 운전자들이 경북 상주시에 있는 ‘안전운전체험연구교육센터’<사진>에서 교육을 받고 나쁜 운전습관을 교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지난 7월부터 시작된 이 프로그램은 올 연말까지 1600명이 교육을 받을 예정이다.  하지만 이같은 친환경 교통정책의 일부는 지자체의 재정난이 불거지면서 규모가 축소되거나 지속여부가 불투명한 경우도 생겨나고 있다.
이상택기자 st0582@gyotongn.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