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중심복합도시의 교통계획
상태바
행정중심복합도시의 교통계획
  • 관리 webmaster@gyotongn.com
  • 승인 2006.05.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행정중심복합도시(이하 행복시) 개발계획에 대한 구상이 공청회를 통하여 발표, 논의되고 있다. 행복시는 충청남도 연기군 공주시 일원에 건설될 신도시로서 면적은 분당의 약 3.5배인 73km2이며, 2030년까지 50만명의 목표인구를 수용한다는 계획이다. 현재의 추진계획에 의하면 2007년 7월에 착공해 2012년에 1단계 공사가 완료되며 중앙행정기관과 관련기관 및 주민입주가 시작될 예정이라 한다.
2005년 11월에는 행복시에 대한 국제공모 결과가 발표되었다. 스페인 건축가 Perea Ortega가 출품한 ‘천개의 도시로 이뤄진 도시(The City of the Thousand Cities)'가 당선작이었다. 이 작품은 도시 중앙부의 산지와 농경지를 공공용지로 비워두고 그 주위에 순환형의 벨트를 따라 인구 2만명이 상주하는 25개의 작은 도시를 만든다는 것이 특징이다. 당선작의 아이디어를 기초로 하여 생활권계획, 토지이용계획, 교통계획, 경관계획 등 개발계획 구상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
행정중심복합도시의 교통체계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지 관심이 크다. 왜냐하면 그동안 우리나라도 신도시를 여러 개 건설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이번에는 어떤 계획철학과 설계기법으로 도시의 골격과 핏줄을 구성할 것이지 궁금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신도시를 건설할 때 고려하는 교통체계는 그 도시의 광역교통과 내부교통이다. 광역교통은 외부지역과의 연결망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도로, 철도, 항공 등으로 연계된다. 행복시의 경우는 중앙행정기관이 입지하기 때문에 전국 각 지역과의 연계가 중요한데, 계획목표로서 행복시와 각 지역과의 접근 통행시간을 2시간 이내로 설정하고 있다.
현재의 전국 교통망 체계로 볼 때 경기도 및 강원도 북부지역, 경상남도 및 전라남도 남부지역에서 행복시까지의 통행시간은 교통혼잡이 적은 경우라도 3시간 이상 소요되는 지역도 있을 것이다. 지역간의 통행시간 단축을 위해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고속철도, 일반철도 등 교통망 체계 구축도 중요하지만 정보통신망을 활용해 통행발생을 근본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안이 검토돼야 할 것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의 내부교통에 대한 공청회에서 발표된 계획방향을 요약하면, 자동차 이용 억제, 대중교통 중심, 녹색교통 육성, 신교통수단 도입, 첨단교통체계 구축 등을 추구하고 있다. 행복시에 지속가능한 교통이념을 구현한다는 의미에서 볼 때 바람직한 방향설정이라고 판단된다.
예를 들면 대중교통의 경우 당선작이 제시한 순환형 벨트 약 22km에 신교통수단의 급행간선버스(BRT)를 운영하되 자동차 통행은 배제하는 방안이 검토되었으면 한다. 자동차 이용 억제를 위해서는 간선도로의 경우 편도 2차로를 기본으로 하고, 교통량이 많은 곳은 예외적으로 편도 3차로로 하되, 도로 중앙부에는 반드시 녹도를 조성하여 녹색도시를 조성하는 방안이 검토되었으면 한다.
행복시는 자동차와 되도록 상충하지 않으면서 도시내 어느 목적지에라도 보행이나 자전거로 통행할 수 있도록 설계했으면 좋겠다. 호주의 캔버라, 영국의 밀턴 킨즈는 자전거 또는 보행으로 도시 어느 곳이나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다고 자랑하는 것을 참조할 필요가 있다. BRT 등 신교통수단은 현재 개발중에 있는 국산의 성능을 검증하여 도입하는 것이 좋겠고, 첨단교통체계와 U-city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간 교통정보 유통, 종합교통정보 수집 및 전파가 가능한 정보통신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도로설계는 주간선·보조간선·집산도로·국지도로 등 도로의 기능별 위계를 반드시 고려하고, 기존 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보도 없는 이면도로는 설계단계부터 배제해 사람이 차도를 걷지 않도록 계획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통정온화(traffic calming) 기법을 도입해 차량의 속도보다 주민의 안전을 우선하는 도로설계 지침이 마련돼야 할 것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의 개발계획은 아직 수립중에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윤곽은 알 수 없으나 이번 기회에 기존의 신도시건설 관행에서 벗어나야 한다. 즉 이제까지의 자동차 중심의 신도시개발에서 과감하게 탈피하여 ‘교통체계 먼저, 도시개발 나중’ 이라는 패러다임으로 바꾸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대중교통을 중심으로 하는 도시개발을 위해서는 구호에만 그치지 말고, 계획과 설계과정에서 철저하게 반영돼야 한다. 그렇게 해야만 21세기에 건설되는 행정중심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출 뿐 아니라 세계 다른 나라에게도 신도시 개발에 대한 좋은 교훈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객원논설위원·성균관대 교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