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익단체 통합이 고된 이유
상태바
이익단체 통합이 고된 이유
  • 김정규 기자 kjk74@gyotongn.com
  • 승인 2015.06.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통합의 과정은 언제나 고단하고 더디다. 우리만의 문제가 아님은 자명하지만 유독 우리 사회의 통합 절차는 잡음이 많고 지난함이 묻어난다.

최근 튜닝산업에 대한 전망은 관련 업계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다. 대통령이 나서서 핵심 산업으로 육성을 약속했기에 기대치는 더해졌는지도 모른다. 블루오션으로 취급받으면서 대규모 고용창출과 유관업계 신성장 동력으로 부족함이 없다는 평가와 예측치가 나오고 있지만 여전히 갈 길은 멀어 보인다.

업계를 대변해야 할 양 협회가 제자리를 찾지 못해서다. 통합 논의를 선언했던 국토부 산하 협회와 산업부 산하 협회는 각각의 태생적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여전히 이해관계에서 자유롭지 못한 채 산업 활성화에 브레이크를 걸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튜닝산업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서였을까. 업계 내 실망감도 크다. 처음부터 부처 간 ‘밥그릇 싸움’에 희생양이라는 소리를 듣던 양 협회만 나무랄 일만도 아니다. 언젠간 창조경제의 총아가 될 경우의 이익을 생각한다면 쉽사리 주도권을 내줄 수도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일선 현장에서 이러한 정치적 역학구도를 이해해줄 여유는 없다.

현장에서 볼멘소리가 들려오는 이유다. 큰 차원의 정부 지원은 하루가 멀다 하고 나오지만 그에 대한 밑그림은 윤곽도 보이지 않아 답답함을 토로한다.

통합 저해 요소로 꼽히는 이유는 많다. 그 시작이 이익이요 그 끝도 이익이다. 이제는 더 나아가 양 협회가 극단적으로 업계의 이익을 대변하려다 보니 이익과 불가분인 그 무언가도 등장했다. 바로 권력이다. 그것을 잡아야 업계를 아우를 수 있다고 생각해서였을지도 모른다.

지금껏 각 산하 단체의 업계가 별도의 튜닝업계라는 말은 들어보지 못 했다. 그런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업계의 이익을 최우선하고 나아가 소비자의 선택권을 담보해야 할 단체는 그 이면의 투쟁에서 시간만 허비하고 있다.

역할에 따른 ‘단체 이원론’이든 요즘 나오는 ‘통합 무산론’이든 모두 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닫은 것은 마찬가지이다. 업계의 권리를 챙겨야 함에 앞서 다른 요소들이 스며들어 원칙을 무시하는 꼴이다. 그 안에는 지위를 얻으려는 명예욕과 세력에 대한 당연한 권력욕이 있을 수 있다. 어쩌면 상위 기관을 위한 투철한 책임감이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말들은 본연의 업무에 소홀하게 되면 매명(賣名)이 되고, 이전투구가 되며, 업계를 대변하지 못할 종속이 된다.

분열을 향한 비판에는 이유가 없다. 듣는 입장이야 매도되는 것 같아 억울하겠지만 분열은 그 자체로 세력 투쟁이기에 좋은 소리를 들을 마음은 애초에 접어야 한다.

시간을 갖고 노력하겠다는 말이 나오지만 ‘하루의 밥벌이에 고민하고 더 나은 밥을 기다리는’ 일선 현장을 생각한다면 더 이상의 ‘감투싸움’은 그만두어야 한다. 같은 식구라면 누가 먹이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무엇을 먹일지를 고민하는 것이 먼저다. 아니라면 얼른 제 갈 길을 선언하고 업계 혼란을 최소화하는 게 이익 집단의 최소한의 책무다. 통합이 전부는 아니니까.

김정규 기자 kjk74@gyotongn.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