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보호구역에서 노인사고 안 난다”
상태바
“노인보호구역에서 노인사고 안 난다”
  • 곽재옥 기자 jokwak@gyotongn.com
  • 승인 2015.09.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수범 교수, ‘교통안전 대토론회서’ 밝혀
 

“사고지점 특성 고려해 개선대책 세워야”

노인교통사고가 대부분 노인보호구역에서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실제 사고지점의 특성을 고려해 도로시설을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수범 서울시립대학교 교수는 지난 9일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호텔에서 열린 ‘서울특별시 교통안전 대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교수는 “현행 노인사고는 노인보호구역이 아닌 전통시장이나 공원 인근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고, 또 무단횡단 방지시설이 설치된 지점에서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며 “노인보호시설 중심으로 보호구역을 지정·관리하는 현행 시설개선대책이 아닌 노인의 주요 통행 지역을 중심으로 노인 보행자의 이동동선 등 보행특성을 고려한 개선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서울시 빅데이터 분석 자료를 보면 2013년 현재 서울지역 노인교통사고 발생건수는 4492건, 노인보행사망자 중 다수는 무단횡단이 원인으로 모두 경기도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 특히 10건 이상 고령보행자 사고가 발생한 지점으로부터 반경 200m 이내에는 실제 전통시장이나 공원이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이 교수는 사고지점 특성과 보행자의 이동특성을 고려한 횡단보도 설치 사례로 청량리역 환승센터를 꼽았다. 청량리역은 서울의 대표적 무단횡단 다발지점으로 기존 횡단보도 설치지점이 실제 보행자 동선을 반영하지 못해 무단횡단을 유발하는 구조였으나 2011년 횡단보도 이전설치를 통해 이동편의를 높였다.

한편 교육 및 단속을 통한 사고감소 대책이 시민참여형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 교수는 “어린이 위주의 교육에서 탈피해 언제 어디서나 단속될 수 있다는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포상금 지급 등으로 시민참여형 단속이나 신고제를 활성화하고, 사고데이터에 기반한 실효성 있는 단속지점을 설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토론자로 나선 오철 한양대학교 교수는 “단속의 근본 목적은 사고예방에 있으므로 실적 위주의 단속이 되지 않으려면 빅데이터, 단속유형 등을 과학적으로 반영해야 한다”며 “빅데이터의 경우 예산을 많이 들이는 데 비해 현실에 적용하는 것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날 강진동 서울시 교통운영과 과장은 서울시 교통안전 목표가 ‘2020년까지 2012년 대비 교통사고 사망자 50% 감축’, ‘어린이 및 어르신 보호구역내 교통사고 제로화’라고 제시했다. 아울러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을 시행해 실제 사고감소 효과를 거두고 있으나 국비지원이 2010년 30억7000만원에서 2015년 3억3000만원으로 크게 축소돼 사업추진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교통안전 대토론회’는 지자체와 지역 주민의 교통안전 활동 참여 유도하고 지역별 맞춤형 정책을 발굴하기 위해 지난 8월부터 오는 10월까지 전국 17개 광역시·도에서 차례대로 개최되고 있다. 이날 토론회에는 학계, 관련분야 전문가를 비롯해 녹색어머니회, 모범운전자회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