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상생형 관광협력을 추진하자
상태바
남북상생형 관광협력을 추진하자
  • 교통신문 webmaster@gyotongn.com
  • 승인 2018.12.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장병권 교수의 관광대국론

[교통신문] 지난달 11월30일부터 10년 만에 역사적인 남북 철도 현지 공동조사가 진행됐다. 석달 전 9월19일 열린 남북정상회담의 결과인 평양공동선언에는 “서해 및 동해선 철도와 도로 연결을 위한 착공식을 하며,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을 정상화하고, 서해 경제특구와 동해 관광특구를 조성하기로 협의한다”고 명시했던 터라 남북공동조사는 공동선언의 실천이라는 큰 의미를 갖고 있다.

관광부문은 유엔 안보리의 제재대상이 아니라는 점에서 북한도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고 경제재건의 돌파구로 삼으려 하고 있다. 그렇지만 평양공동선언에 관광부문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협력의사를 끌어내는데 성공했으나 유엔안보리의 논의 및 북미간의 협상진전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

금년 싱가포르에서 열린 북미 정상회담 이후 양측 간의 비핵화 협상이 지난(至難)하게 전개돼 왔으며, 대표적인 대북 전문가인 남성욱 고려대 교수는 이를 ‘그럭저럭 버티기 시나리오’(The Muddle through Scenario)라 명명하고 있다. 중요한 점은 비핵화 협상에 있어서는 한 치의 양보도 없어 보이지만, 그 외 경제문제에 대해서는 북한도 유연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것이다.

그동안 북한의 행태를 살펴보면, 남 교수의 지적대로 ‘돈 되는 관광상품은 다 한다’는 속내가 담겨 있으며, 미·중간의 경제갈등을 지렛대로 활용해 중국관광객의 유치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최근 북한이 관광분야에서 몇 가지 특기할만한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우선 과거와 같이 사적지와 자연경관, 이벤트를 둘러보는 ‘보는 관광’에서 벗어나 산업관광이나 홈스테이 등 체험하고 즐기는 ‘테마관광’으로 전환되고 있다. 관광상품 개발에 있어서도 ‘일시적인 단순관광’을 넘어 ‘장기체류형 연수’ 프로그램이 확대되고 있다. 향후 대북제재가 해제될 경우 관광분야에서 가장 빠른 성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우리 정부가 평양공동선언 이후 교통과 관광 분야를 우선적으로 정상화하는데 주목한 것은 나름대로 양측 모두에게 이득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북한의 경우 마식령 스키장에 이어 삼지연 등 주요 관광지의 개발에 적극적인 의사를 표명해왔으며, ‘조선의 무역’ 웹사이트에서 투자가치가 있는 곳으로 원산과 금강산의 국제관광지대를 집중 홍보하고 있듯이, 경제재건을 위한 외화획득의 ‘실리(實利)’를 챙길 수 있다.

우리의 경우는 민족통일이라는 원대한 목표를 떠나 ‘한반도’라는 새로운 역사문화 콘텐츠를 구축해 글로벌 관광매력을 제고하며, 외래 관광시장을 범 세계로 확대하고, 세계관광 대국화를 북한과 함께 실현할 수 있다는 ‘명분(名分)’을 얻을 수 있다. 대북 관광협력에 따른 국내관광의 침체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서 외국인 관광객의 남북 교차방문 상품을 공동 출시하는 방안도 있다.

또한 남북한의 각종 교류에 있어서 상생과 호혜가 중요하겠지만 관광만큼 그 효과가 큰 경우는 흔치 않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 정부의 정책담당자들도 ‘관광’이 유엔의 대북제재 대상은 아니지만 북·미간 비핵화 협상진전에 따라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설득과 중재를 통하여 관광협력 이니셔티브를 지속적으로 행사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또한 북한이 방문객에 대한 안전 및 출입국 편의 등에 책임있는 관광국가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유엔세계관광기구(UNWTO)와 같은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통해 관광인프라 확충 및 컨설팅 지원을 받도록 권고할 필요가 있다. 또한 북한의 관광개방을 지원하고 관광개발기금 조성과 역내 관광교류를 확대하기 위하여 한중일 베세토피(BeSeTo+Py) 관광협력체를 구성하는 방안도 검토할만하다.

단기적으로 남북한 관광교류는 이번 현장조사처럼 각종 문화유적지 탐방, 문화스포츠 행사 참가, 대학생 백두-한라 교차 등반과 같은 부정기적인 관광사업을 위주로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3.1독립만세운동 유적이나 태권도 콘텐츠와 같은 소프트 아이템을 공동 발굴하는 방안도 적극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국제제재의 예봉을 피하는 방법으로 ‘국가’ 레벨보다는 지자체와 민간부문으로 협력 주체를 하향・분산할 필요가 있다.

이번 철도 공동조사가 유엔제재 대상에서 제외되었듯이 남북협력중 제재 비대상 분야를 적극 발굴하고 이를 관광부문으로 연계시켜 추진하는 방법도 묘안이 될 수 있다. 가령 한반도 신경제지도(H벨트) 구상이나 비무장지대 평화관광 구상과 같이 정부가 추진하기로 발표했던 각종 대북 관광협력 사업에 대한 액션플랜을 조기 수립하여 대비할 때이다. 향후 변화무쌍할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에 ‘기회는 준비된 자에게 온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객원논설위원·장병권 호원대학교 호텔관광학부 교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