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타는 것, 그 이상의 택시
상태바
[칼럼] 타는 것, 그 이상의 택시
  • 교통신문 webmaster@gyotongn.com
  • 승인 2019.04.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강상욱 박사의 대중교통 현장진단

[교통신문] ‘부르면 오는 것, 부른다고 와주는 것, 그게 사랑이면 좋겠지만 택시’라고 어느 시인은 말했다. 택시는 사연이 많고, 사연이 많은 만큼 친숙한 수단이다. 지금 택시에 부는 변화의 바람이 거세다. 변화는 잔인한 모습으로 다가온다. 신념엔 저항해도 기술엔 저항할 수 없다는 말이 있듯이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공유경제 기반의 플랫폼 기술이 급성장 하면서 전통적 택시시장엔 쓰나미가 연거푸 덮치고 있다.

택시업계가 저항하는 이익집단 정치의 효력도, 대타협을 명분으로 정부와 정치권이 내놓는 당근의 처방도 당분간은 통할지 모르나 결코 근본처방이 될 수 없다. 하루가 다르게 고급화되는 첨단 대중교통과 다양한 개인교통수단이 등장하면서 택시 승객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 제 자리 걸음 하는 서비스의 현재와 같은 영업방식으로는 더 이상 택시의 미래가 없다.

이제 택시시장의 독점이 깨지기 시작했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IT) 기반의 ‘플랫폼 택시’가 완전 월급제를 보장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지만, 필자가 보기엔 이 역시 한계가 있다. 연못의 물고기가 줄어드는데 첨단 낚싯대를 드리운다고 얼마나 더 고기를 잡을 수 있을 것인가. 해법은 연못에 새로운 물고기가 들어오도록 새로운 택시 수요를 창출하는 것이다. 오로지 운행거리와 시간에 따라 미터기 요금을 받는 사람을 실어 나르기만 하는 단순한 운송기능의 택시로는 더 이상 비전이 없다.

‘우린 목욕탕에서 때 안 벗기고 딴 짓 하지요’ 예전의 케케묵은 동네 목욕탕이 카페나 공연장으로 변신하면서 젊은이들이 즐겨 찾는 새로운 공간으로 변신했다는 신문기사의 제목이다. 이 뿐만이 아니다. ‘쇼핑, 놀이가 되다’라는 광고 문구처럼 요즘의 대형 쇼핑몰은 쇼핑 대신 다양한 고급 먹거리와 놀이 공간으로 손님들을 끌어 모으고 있다. 대형호텔은 부동산업과 장치산업으로, 시계는 패션과 디자인 산업으로 이미 변신한지 오래다. 택시도 이렇게 변화할 수는 없을까?

몇 해 전에 필자가 방문했던 일본 요코하마의 ‘三和交通’(삼화교통) 택시회사의 사례는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다. 이 택시회사가 운영하는 약 500대의 모든 택시는 평범함을 거부한다. 단순히 인사 잘하기, 친절하기와 같은 기존의 택시 서비스의 교본과 차원을 달리한다. 거북이택시, 임산부택시, 펫(pet)택시, 심령투어택시 등. 이름만 봐도 재미있는 이 택시들은 일반택시를 겸용하면서 고객의 잠재된 기호를 읽어내는 기발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운전자들도 각기 특성에 맞는 특화된 서비스 기능교육을 받거나 재밌는 스토리 텔러(입담꾼)가 되기도 한다. 모든 서비스가 바로 돈이 되는 것도 아니고 이벤트성 서비스도 있다. 이 택시 회사는 이런 노력의 덕택에 입소문을 타면서 승객이 몰려들고 지역의 다른 회사보다 운전자 급여도 월평균 100만원 정도 높아 일부 대졸 지원자도 찾고 있다.

이제 택시는 단순히 타는 것 그 이상의 ‘즐기는 택시’가 되어야 한다. 그러려면 택시업은 운송업에서 새로운 서비스업이나 엔터테인먼트업으로 과감한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 관광 안내, 물품 배달, 응급구호, 노인복지 등 지역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한 택시 플러스 서비스가 나와야 한다.

택시도 전통 목욕탕의 변신이나 일본 택시 회사의 사례에서 조그만 교훈을 얻어 변신의 노력을 해 나간다면 얼마든지 제2의 성장 동력을 찾을 수 있다. 택시 전업의 숙련된 인적 서비스자원을 활용하여 다양한 고부가가치 서비스를 개발해 나간다면 미래의 자율 주행차 시대에도 택시는 얼마든지 차별화된 서비스로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다.

<객원논설위원=한국교통연구원 선임연구위원·교통칼럼니스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