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초소형전기차 시장 활성화 관건
상태바
[기자수첩]초소형전기차 시장 활성화 관건
  • 이승한 기자 nyus449@gyotongn.com
  • 승인 2019.08.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교통신문 이승한 기자] 어떤 분야든 간에, 그것이 막 태동될 즈음에는 적절한 외부 지원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국내의 초소형전기차도 그런 상황이다.

지난 20일 관련 업계와 정부, 학계 관계자가 서울 명동 한 호텔에 모였다. 초소형전기차 관련 업체를 대변하기 위해 만들어진 한국스마트이모빌리티협회가 주최한 이날 포럼에서 수많은 지원책이 제시됐다. 참석자들은 형성된 지 2년 정도 된 국내 초소형전기차 시장이 발전하기 위해선 생산 차종 국산화율을 높이고 내수시장을 보호할 수 있는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금전적인 지원 이외에도 무분별한 중국산 유입을 막기 위해 적절한 법제도적 기준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무엇보다 업계는 시장을 가로막고 있는 규제 개선이 선제적으로 이뤄져야한다고 주장했다. 자동차전용도로 진입이나 특장차 개조 허용 등이 대표적 사례로 꼽혔다.

업계와 정부 관계자는 초소형전기차가 다양한 용도에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 큰, 새 분야라는 데 이견을 보이지 않았다. 차를 이용하는 소비자 관점에서 물류서비스와 공공행정지원 용도 이외에도 사회복지서비스용과 초단거리 카셰어링 용도로 적합하다는 것이 이들 주장이었다. 실제 포럼에서 각각의 분야에서 구체적인 적용 사례가 제시되기도 했다. 차를 생산하는 업계 관점에선 기존 완성차와 달리 중소기업 진입이 비교적 용이한 만큼 해볼 만하다는 기대감이 팽배해진 상태다.

업계와 정부는 오는 2022년 시장 규모가 처음으로 1만대 수준을 돌파할 것이라 예상했다. 전국적으로 4만여대에 이르는 배달용 운송수단 5~10%가 초소형전기차로 교체되고, 개인용 운송수단으로 매년 1000대에서 5000대 가량 수요가 발생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놨다.

장밋빛 청사진이 가득해보이지만, 부정적 예상도 적지 않다. 우선 초기 수요가 지나치게 제한적인 것을 우려하는 이들이 제법 많다. 차종 특성 때문에 시장에서 소위 먹혀들어갈 수 있는 배달이나 특수목적 차량으로 주목받게 되는 것은 충분히 이해가가지만, 업계가 지나치게 제한적 수요에만 매달리는 것은 위험 요소라는 지적도 나왔다. 사실상 시장이 획기적으로 커지려면 개인 수요가 많아야 하는데, 초소형전기차가 국내 시장에서 그럴 수 있기에는 한계가 커 보인다. “향후 연간 5000대에서 1만대 정도씩 배달 중심의 제한적 수요가 유지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업계 관계자는 “중소기업 위주라 시장 규모가 커질 때까지 자생적으로 버틸 수 있는 기업이 과연 몇이나 될까 우려도 크다. 정부 등으로부터 지원을 받는다고 해도 여러 경쟁업체가 난립할 경우 한정된 밥그릇을 놓고 다투는 상황이 벌어지지 말라는 법도 없어 보인다. 자칫 수익성 악화로 성장기에도 들어가지 못한 채 산업계가 붕괴될 수 있다”고 했다.

결국 제한적 용도 수요가 아닌 개인 수요를 어떤 식으로 확대할 지가 시장 활성화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물론 쉽지 않은 일이다. “경차도 맥을 못 추는 국내 실정에서 일반인들이 초소형전기차를 이동수단으로 선택할 수 있을지 의문”이란 지적을 곱씹어볼 필요가 있다. 단순히 개인 성향의 변화만이 아닌, 국내 도로와 교통 체계까지 바뀌어야 하는 일인 만큼 관련 업계뿐만이 아닌 교통당국 모두의 고민이 필요할 듯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